d라이브러리
"성질"(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걸까. 2018년 토르콰토 는 초균일성 물질인 준결정에 X선을 비췄다. 화학자들은 물질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X선 촬영을 한다. 그 결과 X선이 산란하며 만드는 독특한 모양(회절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정 지점들 사이의 간격과 자연수에서 소수가 나타나는 간격이 비슷하다는 걸 알아냈다. 이 분야 ... ...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그중 약수를 중요하게 여겼다. 당시 약수와 관련해 특이한 성질이 있는 수는 천문학, 점성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런데 모든 자연수의 약수 개수가 같지 않다. 8의 경우는 약수가 1, 2, 4, 8로 4개고, 12는 1, 2, 3, 4, 6, 12로 6개다. 자연수 중에는 약수의 개수가 단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우스의 말은 오늘날까지 널리 회자된다. 가우스가 연구에 매진한 18세기에는 이미 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가우스는 정수론을 비롯해 대수학, 기하학, 물리학, 통계학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3세 때는 아버지의 계산 실수를 바로잡고, 10세 때는 1부터 10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정한 수학자다. 메이나드 교수가 수학에 재미를 느낀 건 고등학교 졸업 무렵 수의 성질을 탐구하는 정수론을 접하면서부터라고 한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정수론, 특히 소수의 아름다움에 빠져 연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수학자가 되기로 했다. 2009년 로저 히스 브라운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네오알키미스트는 독자가 반드시 알아야하는 물질의 성질 중 특히 중요한 탄성, 자성, 열이나 전기의 전도성, 외부의 힘에 갈라지거나 늘어나지 않는 인성 등을 중심에 두고, 각각의 특성을 대표적인 물질로 설명한다. 독자들이 다양한 물질을 관통하는 공통된 원리를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만든 선박은 처음이었어. 물리탐사는 땅속을 직간접적으로 측정해서, 지질이나 암반의 성질을 조사하는 거야. 나는 바다 아래 지층의 구조, 암석 종류, 지형을 기록하고 해저 자원은 어떤 것이 매장되어 있는지 조사했어. 네 업적이 궁금해지는걸? 탐해 2호는 매년 150일 이상 바다를 누볐어.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때문이다. 수학에는 여러 분야가 있지만, 중고생 시절 쉽게 빠질 수 있는 분야가 수의 성질을 다루는 ‘정수론’이다. 이 정수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제가 소수다. 에우클레이데스, 피에르 드 페르마, 레온하르트 오일러,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등 유명한 수학자가 모두 소수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즉 자연수를 알기 위해 소수를 잘 알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소수만 알면 수의 성질을 모조리 알 수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일러는 여기서 더 나아가 ‘오일러 곱셈공식’이라는 일반화된 식의 일부 값도 알아냈다. 그가 유도한 식을 일반화해 제곱 부분의 2를 어떤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랑하는 대상의 사소한 점마저도 알고 싶은 마음처럼, 수학자들은 소수의 작은 성질에도 주목하며 하나하나 이름을 붙여왔다. 메르센 소수, 페르마 소수를 비롯한 다채로운 이름의 소수가 겨울밤을 수놓는 별만큼 가득하다. 이중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소수도 있다. 수학자의 소수를 향한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쉽지만, 반대로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은 어렵다는 말인데, RSA 암호는 정확히 이 성질을 이용한다. 암호는 푸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강력해진다.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정보는 140자리 이상의 소수를 이용해 암호화하는데 이를 해독하려면 슈퍼컴퓨터로도 약 1만 년이 걸린다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