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엠"(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물리학이론으로 부각되고 있는 엠(M)이론을 우주 연구에 응용해 천체물리학계의 최신 가설로 떠오른 '막(膜)우주론'.호킹 교수가 최근 연구에 열중하고 있는 주제다.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M이론의 원류인 끈 이론을 소개하고 막 우주론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다.자연계의 4가지 힘(강력, 전자기력, ... ...
- 움직이는 M인터넷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일어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중점을 둔 말이다. 어떤 사람은 엠커머스보다 엠비즈니스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이에 따라 이동통신업체들은 단순한 이동전화서비스 회사에서 벗어나 모바일 인터넷 회사로 탈바꿈하기 위해 회사 이름에 M자를 넣기도 하고, 무선, 혹은 모바일 ...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스투닷컴(stoo.com), 한국경제신문의 인터넷 회사인 한경닷컴, 한솔PCS가 이름을 바꾼 한솔엠닷컴(hansolm.com) 등이 도메인 이름을 회사 이름으로 사용한 예다.어쩌다보니 언론사와 대기업만 예를 들었는데, 벤처 기업을 중심으로 닷컴 명칭을 쓰는 곳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자신의 비법을 공유하기도 한다.최고 인기를 구가하는 네트워크 게임들①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www.microsoft.com/games/aoeexpansion/)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원시시대부터 하나의 국가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게임으로 엮었다. 임나일본부설을 채택해 물의를 빚기도 한 이 게임은 ...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과학동아 l1998년 11호
- 그러나 사람처럼 미적인 평가기준에 의해 변형을 판단한 것은 결코 아니다. 아론이나 엠미 역시 자신의 작업을 심미적인 기준으로 평가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이론가인 미국의 존 서얼 교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람처럼 창조적 능력을 가질 수 없다고 ... ...
- 자기부상열차 시대 개막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상전도 방식이면서도 최고속력 4백km/시, 평균속력 3백km/시의 속도를 내면서 독일 북서부 엠슬란트 지방에 설치된 31km의 시험구간을 운행해왔다. 독일 정부는 2005년에 트랜스래피드가 함부르크와 베를린을 53분만에 주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올해 2월 일본의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인 MLU002N은 ... ...
- 1.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있다. 국내에서는 SKC 금성 새한미디어 등이 디스켓을 생산하고 해외유명업체로는 스리엠(3M) 메모렉스 등이 대표적이다. 플로피디스크의 경우 제조상 특별한 비결이 있는 것이 아니고 대량생산에 의한 가격인하가 관건이므로 가격경쟁이 극심하다.디스켓의 구입은 판매점들의 할인판매 때를 ...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과학동아 l1992년 11호
- 1985년 CD롬 표준화를 위한 기구를 만드는데, 이 기구에 참여한 필립스 소니 히타치 DEC 스리엠(3M) 애플 등을 하이시에라(High-sierra)그룹이라 부른다. 이들은 이듬해 지름 12㎝ 두께 1.2㎜의 CD롬을 표준으로 정하고 1987년에 국제표준기구(ISO)로부터 인정받는다.필립스와 소니가 주도한 CD롬 개발에 ...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우리가 이를 디스켓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를 최초로 발매하기 시작한 미국의 스리엠(3M)사가 자신들이 발매한 플로피 디스크에 디스켓(diskette)이라는 상표명을 붙여서 팔았기 때문이다.우리 눈에 장사각형처럼 보이는 플로피 디스크는 사실상 재킷을 제거해 보면 둥근 원반 모양의 갈색물질로 ... ...
-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과학동아 l1992년 10호
- 부상시키고 있다.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독일의 경우에도 아직 실용화된 예는 없으며 엠슬랜드 시험소에서 트랜스래피드-07 시스템을 시험중에 있다. 트랜스래피드-07의 전신인 트랜스래피드-06은 1988년에 시속 4백12km의 기록을 냈다. 계속 연구개발중이어서 정확히 언제 실용화될 지는 예측하기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