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문"(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Studies)’의 편집장이기도 한 셰릴 빈트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영문학‧미디어문화학과 교수가 한 말이었다. 그는 2019년 SF라는 장르에 대해 논하는 책 ‘에스에프 에스프리(원제 Science Fiction: A Guide for the Perplexed)’를 소개하는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SF는 과학이 어떻게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트리니티라는 정체불명의 여자가 접근하고, 네오는 다음날 경찰과 나타난 요원들에게 영문도 모르는 채 잡혀간다. 매트릭스는 1999년에 개봉한 SF영화입니다. 독특한 액션과 사이버펑크(첨단 기술과 반체제적인 대중문화의 결합) 분위기로 인기를 끌었었죠. 요원들에게 잡혀갔던 네오는 다시 ... ...
-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9바이러스 외에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종이 표면에서 얼마나 생존하는지에 대한 모든 영문 논문 22편을 살펴본 결과, 평균 4~5일이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온도가 약 30℃로 높거나 습도가 낮을수록 생존력이 떨어졌다.Q. 확진자가 다녀간 곳에 다시 가도 되나요?질병관리본부는 확진자가 다녀간 곳을 ... ...
- 제임스 J. 복 스피어x 총책임자 "최초의 은하 찾겠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교수 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수석연구원 인터뷰 질문과 답변을 영문 그대로 실었습니다. 디라이브러리에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제임스 J 복 교수의 인터뷰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게재합니다. 과학동아는 스피어x(SPHEREx)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제임스 J 복(James Jamie Bock) 미국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새로운 질환처럼 받아들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코로나19’로 부르기로 했다. 영문 표현은 ‘COVID-19’로 쓴다. 인간 감염시키는 일곱 번째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는 흔히 말하는 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다. 주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된 디스토피아를 그렸다. 여러 문학 단체에서 20세기 100대 영문 소설 중 하나로 꼽는 명작이다.작품 속 아이들은 모두 인공수정으로 태어난다. 한 부화기에서 최대 96개의 배아가 배양되는데, 모두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 런던에 있는 부화장에서는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가진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러분은 안 풀리는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하나요? 수학자는 여러 각도로 문제를 생각해봅니다. 때로는 문제를 더 어렵게 바꿔보는데요, 그게 오히려 문제를 쉽게 해 ... 참고자료 세르게이 노린, 쑹쯔샤 ‘Breaking the degeneracybarrier for coloring graphs with no Kt minor’, 영문 위키백과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인류 문명을 이끌어온 진정한 영웅, 철을 기념한다는 의미를 추가하고 싶다. 철의 영문명은 ‘아이언(iron)’이다. 고대영어인 ‘아이렌(iren)’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주기율표에서 철의 원소 기호는 ‘Fe’로 표기한다. 이는 철을 뜻하는 라틴어인 페룸(ferrum)에서 유래했다. 역사상 철기를 처음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뭐니? silicon vs. silicone규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짚고 넘어갈 점이 있다. 규소의 영문명인 ‘실리콘’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을 표기할 때 ‘silicon’과 ‘silicone’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알파벳 e 하나 차이지만, 이 둘은 학술적으로 엄연히 다른 용어다.주기율표의 14번째 원소인 규소를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새로 찾아낸 209개의 성단에는 나를 포함해 연구에 도움을 준 연구자들이 소속된 기관의 영문 첫 글자를 땄다. 나와 친구 승현이가 다니는 울산과학고의 ‘U’, 안 교수님이 재직하고 있는 부산대의 ‘P’, 그리고 이 박사님이 소속된 한국천문연구원의 ‘K’를 모아 ’UPK‘라고 명명했다.비록 힘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