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세계"(으)로 총 2,4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전파 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도 있었다. 전세계 6개 대륙 8개 대형 전파 망원경을 연결해 2019년 4월 최초로 블랙홀을 관측하는 데 성공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다. 하지만 지상의 망원경을 아무리 키운다고 한들 지구 대기의 방해를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는 “라온을 이용하면 전세계 과학자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희귀동위원소를 더 많이,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이 이유는 ISOL에 더해 소전류 고에너지 희귀 동위원소 빔 생성장치 ‘IF’도 활용하기 때문이다. ISOL과 IF ... ...
- [도전!체스마스터] 둘 중 하나는 잡는다! 포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나이트는 상대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권세현 한국 체스 챔피언.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체스 선수의 명예 중 하나인 FM(Fide Master)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요. 201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체스 챔피언 자리를 이어오고 있어요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삼성서울병원에 설립된 양성자 치료센터로 중입자 치료센터는 없었다. 실제로 전세계 입자 치료센터 중에서도 중입자 치료센터의 비중은 대략 8% 수준으로 대부분이 양성자 치료센터다. 중입자 치료센터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비용이 크기 때문이다. 양성자보다 무거운 중입자를 가속하기 위해선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❷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고통만을 이야기하는 게 아닙니다. 2022년 10월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 진행한 동물실험이 전세계 과학자들의 공분을 산 일이 있었습니다. 갓 태어난 원숭이 새끼를 어미와 떼어놓고, 어미에게 봉제인형을 줬죠. 무생물인 봉제인형이 새끼를 잃은 어미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을지 확인하기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출시된 미드저니(Midjourney), 8월 22일 출시된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등이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시기다. 세 AI 프로그램 모두 텍스트나 이미지 파일을 삽입하면 AI가 알아서 그림을 그려주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이 널리 퍼지면서 그림 그리는 AI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최선을 다하겠습니다.필수 안내 사항1. 래빗홀 컴퍼니는 자사의 우월한 기술력을 통해 전세계와 빛의 속도로 소통할 수 있는 통신기술과 단 1초만에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인체를 재구성할 기술을 모두 갖췄습니다. 이에 따라 순간이동 소요시간은 ‘0초(양자전송 시간)+n초(출발지와 목적지 ... ...
- [도전M! 체크마스터] 함께하면 강해져! 비숍의 체크메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공격해야 킹이 도망칠 곳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권세현 : 한국 체스 챔피언.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체스 선수의 명예 중 하나인 FM(Fide Master)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요. 201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체스 챔피언 자리를 이어오고 있어요 ... ...
- [놀이북] 멀리서도 위협적인 룩의 체크메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9호
- 룩의 체크메이트를 연습하고 체스 마스터에 도전하세요! ※권세현 (한국 체스 챔피언)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체스 선수의 명예 중 하나인 FM(Fide Master)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요. 201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체스 챔피언 자리를 이어오고 있어요 ... ...
- [인터뷰] 미래모빌리티의 모든 것을 배웁니다 - 국민대학교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카리아드, 포르쉐 등과 함께 하는 워크숍에 참여하며 많을 것을 배울 것”이라고 말했다.전세계적인 탄소저감 정책에 따라 미래모빌리티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2030년에는 이 분야에 10만 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해질 전망이다. 양 주임교수는 “자동차융합대학 입학생들도 미래자동차 -미래모빌리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