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찾기"(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매 순간 다른 입자들과 충돌하며 검출돼 가뜩이나 찾기 어려운 암흑물질의 흔적을 더 찾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하 깊숙이 내려올수록 이런 입자들이 토양에 걸러진다. 소 책임기술원은 “10cm×10cm 면적을 기준으로 검출기를 지나가는 뮤온 입자가 지상에선 하루에 8만 6400개지만, ...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자기 자신이 아닌 약수를 반드시 가지기 때문에 남은 수는 소수가 된다. 정리하면 소수를 찾기 위해 동그라미를 치고 지우는 작업은 많아야 √N 까지만 하면 된다. N까지의 소수를 구하려면 √N 까지의 소수를 체에 거르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명제가 증명된 것이다.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수학과 ... ...
-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Part1.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Part2.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Part3.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Part4.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Part5. 거대 소수 왜 찾나? ...
- [Chapter3] 궁극의 문제, 소수 공식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 괴담 소수와 관련 있다?악마의 문제 수학계에 소문난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천재 수학자의 정신을 앗아갔다고 알려진 문제에 관한 것으로, 문제의 별칭도 ‘악마의 문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미국 수학자 존 내시다. 그는 수학적 업적이 경제학에 미친 영향력을 인정받아 66세가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화석 증거를 발견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찾기는 쉽지 않다. 2023년 12월 8일, 프랑수아 테리앙 캐나다 로열티렐박물관 공룡 고생태학 큐레이터와 달라 젤레니츠키 캐나다 캘거리대 지구에너지환경학과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위 속에 식사 내용물이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대부분이 경영경제 전공자였습니다. KAIST나 과학고 출신은 물론, 특히 수학 전공은 찾기 어려웠죠. 컨설팅 회사의 인턴, 대학교 컨설팅 학회나 동아리 활동 경험은 당연하다고 여겨졌는데, 저는 그렇지도 않았고요. 전공도 경험도 특수한 상황이었기에, 회사 생활에 적응하기가 처음엔 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쓰고 있어.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면서 기존의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지.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그 답이 될 수 있을까? 과학마녀 일리가 알아 봤어! 아래쪽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음이 불에 활활 타고 있어요. 어떻게 얼음이 불에 탈 수 있는 걸까요?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GIMPS에 참가한 사람들은 컴퓨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소수 찾기에 관심을 가졌다. 새로운 컴퓨터를 설계하거나 설치할 때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용량의 계산을 시킨다. 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만 자리까지 계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국적 컴퓨터 기업 ... ...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으로 나타났다. 사슴지의는 순록의 주식으로, 회백색을 띠고 있어 하얀 눈 속에서는 찾기가 어렵다. 그런데 하얀 눈은 자외선을 반사하고 사슴지의는 자외선을 흡수한다. 따라서 자외선을 기준으로 보면 눈은 하얗게, 사슴지의는 어둡게 보여 뚜렷하게 대비된다. 연구를 이끈 도미니 교수는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목표가 ‘콜라를 닦는 것’임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행동들을 찾는다. 이중 ‘콜라 캔 찾기’를 가장 먼저 수행해야함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이어질 적절한 행동을 찾아 하나씩 수행한다. 팜-세이캔 모델처럼 알아서 목표를 찾고 수행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임무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 AI 로봇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