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안전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바이오닉스연구센터팀은 두피에 센서를 붙여 뇌파를
측정
하는 ‘비침습적 방식’을 사용한다. 간편하지만 그만큼 정확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과제다. 두개골을 열어 뇌에 직접 전극을 연결하는 ‘침습적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위험하다. 최소한의 부위만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보며 다음 식사 때는 좀 더 탄단지 영양 균형이 잘 잡힌 메뉴를 고르게 됐달까요. CGM
측정
수치를 블루투스로 전송받아 보여주는 스마트폰 앱 파스타의 음식 자동 인식 기능도 유용했습니다. 카메라로 식단을 촬영하면 인공지능(AI)이 먹은 음식을 자동으로 파악해, 해당 음식의 열량과 당 함유율을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강입자 충돌에서 생성된 입자들 간의 비율은 그 입자 생성 과정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측정
값인데요. 이 입자 생성 과정만 입자들의 생성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성비로 생성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은 위와 맵시 두 쿼크로 이뤄진 D0 입자와 크사이씨 중입자의 생성 비율을 기존의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부족한 점을 보완합니다. 라이다는 사방으로 빛을 쏘아 장애물의 형태와 거리 등을
측정
한 다음 정보를 통해 주변의 지형을 탐색하는데, 이를 ‘매핑’이라고 해요. 라이다는 주변을 자세하게 매핑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눈이나 비가 내리면 빛이 굴절되어 정보에 오류가 생겨요. 레이더는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계속 변하기 때문에 총을 쏠 지점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수학을 이용하면 정확히
측정
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교점의 수선 발을 향해 쏘는 것이다. 리코의 위치에서 벽에 내린 수선의 발(A)과 상대방의 위치를 이은 선분(파랑), 상대방의 위치에서 벽에 내린 수선의 발(B)과 리코의 위치를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판단할 수 있는 명제만을 생각합니다. 물론 기상청에서 정한 기준대로 정확하게 온도를
측정
하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얘기하고 있다는 전제 조건도 잊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명제가 아니라면 그 진위를 정확히 판단하는 기준이 없어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인지 알 수 없으므로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비슷하면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해볼 만한 유망주의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된다. 이적료
측정
은 통계로! 적정한 이적료를 책정하기란 어려운 문제다. 고액의 이적료를 지급하고 선수를 데리고 왔는데, 그만큼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비용을 낭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1년 국제축구연맹(FIFA) ... ...
전술의 신 4. 탄탄한 수비진 짜는 팬의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점으로 보고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실시간으로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측정
했다. 입구에서 가까운 추격자만 직접 적을 향해 가고 나머지는 적에게 접근해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했다. 시뮬레이션해 보면 모두가 적을 쫓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적의 탈출을 막고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다르게 관측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쌍성 운동을 분석하면 쌍성의 질량을 잘못
측정
할 수 있다. 때문에 공전궤도 경사각은 정확한 질량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 역시 펄사 타이밍을 분석해 확인한다. 다만 정확한 경사각을 예측하기 어려워 오차 범위를 둔다. 연구팀은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어떤 신호가 검출기에 검출되고 스테인리스 속 수조에서 체렌코프 효과에 의한 빛이
측정
된다면 검출기에 검출된 것이 중성미자가 아닌 뮤온이라고 해석해 해당 데이터는 버리는 식이다. 조서연 독자는 “비싸고 복잡한 기구들이 아닌 물로 뮤온을 거른다는 사실이 매우 신기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