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lab"(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경력을 뒤로한 채, 전직 기자, 수학전문 에디터, 작가, 보드게임 개발자, 스타트업 OhY LAB.의 공동대표이자 직원, 두 아이의 엄마로 살고 있다. 참고자료 로제 카이와 ‘놀이와 인간(로제 카이와)’, 김건희 ‘나는 보드게임 작가다’, 휴 버크파트 ‘Design a Board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1m2당148Bq에 해당한다.)블루투스 스피커를 닮은 원통 모양의 라돈아이는 에프티랩(FT Lab)이라는 국내 벤처가 자체 개발했다. 에프티랩은 원래 고정밀 계측기계를 만들다가 우연한 계기로 라돈아이를 개발했다. 4월 3일 경기도 수원 에프티랩 기술연구소에서 라돈아이를 개발한 고재준 대표와 김영권 ...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현재 김 교사는 임 양이 활동하는 교내 동아리 ‘랩걸(Lab Girl)’의 지도교사를 맡고 있다. 랩걸은 1학년 여학생 5명이 의기투합해 만든 자율동아리다. 노벨상을 꿈꾸는 학생들이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벤치마킹’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임 양은 “중학생이 실행 ... ...
- 과학은 즐거움이다_하우영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있다고 했다. 학생, 교사, 학부모들이 함께 하는 과학 토크콘서트다. 콘셉트는 페임랩(Fame Lab)과 유사하다. 3분 동안 각자 최근에 배웠던, 혹은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과학 주제를 흥미롭게 이야기하면 된다. “학생, 교사, 학부모가 모여 함께 과학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가 만들어진다면 정말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충돌할 경우 그 여파가 크다. 지난해 1월 21일 미국 우주개발 벤처인 로켓랩(Rocket Lab)이 발사한 인공위성 ‘휴머니티 스타(Humanity Star)’는 우주쓰레기 논란에 다시 한번 불을 붙였다. 노래방의 디스코 볼 조명처럼 생긴 이 위성은 반사율이 높은 탄소섬유 판 65개를 이어 붙인 형태여서 햇빛을 반사해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위스콘신대다. (주관적 신뢰감+1) 가트맨 박사는 세계적인 관계 연구소인 ‘러브 랩(Love Lab)’을 30여 년간 이끌었다. 가트맨 박사도 독자들이 자신을 의심할 것을 예상했는지, 책 제1장 제목을 ‘사랑의 과학이라고? 정말?’로 지었다. 여기에 러브 랩이 어떤 곳인지 간략히 설명이 있다. 우선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미야기(宮城) 현 센다이(仙臺) 시를 덮쳤다. 도호쿠대 ‘스페이스 로보틱스 랩(Space Robotics Lab)’은 그때 막 달 탐사차(로버)의 첫 번째 모델을 완성한 참이었다. 연구실을 이끄는 요시다 카즈야(吉田和哉)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다행히 로버는 망가지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무게 10kg 로버, 500m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리처드 브랜슨 회장. 이 두 사람은 공통점이 하나 있다. 실험실에서 키운 ‘인공고기(Lab-grown meat)’가 인류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지난해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Memphis Meats)’에 거액을 투자했다. 소 87만3000마리, 돼지 1672만8000마리, 닭 9억3602만 마리,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하버드대 공대 측은 대학 이름 공개를 꺼렸지만, 그간 세계 유수 대학과 ‘랩온어칩(Lab on a chip·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작은 반도체칩)’을 이용한 토양 분석, 해양 오염 해결 기술 개발 등을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국내에서는 다른 대학을 제치고 UNIST가 발탁됐다. 지난해 하버드대 공대는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주비행사를 육성해 우주에 ‘가는 것’에만 집중했습니다. 그러다 ‘스카이랩(Sky Lab)’이 생기면서 우주에서 실험을 해보겠다는 생각이 나왔고, 우주에서 의미 있는 것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나온 겁니다. 그러자면 민간을 배제할 수 없죠. 민간이 함께 했을 때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니까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