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간"(으)로 총 2,1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보다 방학 기신분포스팅 l20250823
- 저희 학교는 본교에서 분교로 가는 거라 방학이 길더라구요.저희 방학기간이 7월26일~9월1일까지 에요저보다 방학기신분 계시면 댓글 적어주세요.아 근데 여름방학이 이렇게 길면 겨울방학이 짧은 거 아녜요?쓰읍... 망했는디.... ...
- 이소연 박사님과의 zoom 특강~!기사 l20250817
- 중,고등학교에서 만든 실험을 교육용 DVD로 만들어져 학생들이 본 실험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Q2-우주 정거장에서 불편한 점과 장기간 우주 생활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A-무중력 때문에 둥둥 떠다니는 것은 멋지지만, 그것 때문에 멀미가 나고 일하는 것에 불편했었습니다. Q3-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향할 때 어떤 느낌이 드나요?입고 계셨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 1. KAIST 인공위성 연구소를 방문하다2025년 7월 31일, 대전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인공위성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특별한 탐 ... 것은 어린이과학동아와 권인소 교수님과의 만남 덕분입니다. 다시 한 번 어린이과학동아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남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5. 다음 세대를 위한 "능동제어 위성 1호" 능동제어 위성 1호의 사업 목표는 국가 우주 잔해물 궤도상 포획하는 것입니다. 사업기간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로 우주연구원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6. KAIST 우주 탐사 로드맵 우리의 인공위성도 달을 넘어 화성에 갈 수 있다! 1976년에 우리나라 첫 포니 자동차가 나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왼쪽부터 지상국, 청정실, 진동시험기의 모습 / 출처 : KAIST 인공위성연구소 홈페이지> 열 진공챔버는 -80oc~100oc까지 1달에서 2달 정도의 기간 동안 온도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기계입니다.우주기자단 활동을 하며 여러 발사체 연구/제작기관을 방문하다 보니 열 진공챔버, 가진기(진동시험기 등이 조금 익숙해 졌는데요. 이렇게 방문할 수 ...
- 대회 홍보...(제발 신청이요..ㅠㅠ)포스팅 l20250731
- 여기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어서 어서 신청을~! 신청 방법과, 어떻게 진행되는지까지 설명 드릴테니 제발! 참가 부탁드려요...기간은 8월 5일까지에요..!신청 방법:1-그냥 여기 포스팅 밑에 참가하겠다고 댓글을 단다.2-작가 포폴로 들어가서 갤러리 대회 찾고 들어가서 신청 댓글을 단다. 골라서 하시면 되구, 이제 어떻게 진행되는지! 진 ...
- 이벤트~~~맞추시면 ○○○을 드립니다!포스팅 l20250723
- 이벤트 갑니다!!!제가 필명이 쑤인 이유는 무엇일까요?1. 이름이 수아라서2. 영어 이름이 쑤라서3. 학원 선생님 이름이 쑤라서4. 별명이 쑤라서맞추신 분께는 ♡♡♡을 드립니다! 보너스 문제를 맞추신 분께는 ○○ ○○○을 드립니다!보너스 문제 나는 수학 학원에 다닌다 ㅇ× 퀴즈많참부 부탁드려용! (참가자 수가 4명이 안 넘을 경우 이 이벤트는 취소 됩니다! ...
- 미래를 밝힐 인공태양, KSTAR를 방문하다: 핵융합 에너지의 신비기사 l20250720
- 화면 속 녹색은 시스템 정상, 붉은색은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KSTAR는 주로 연간 3~4개월 동안만 가동되며, 나머지 기간에는 철저한 점검과 유지보수를 진행한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다음으로 방문한 곳은 KSTAR의 핵심 시설인 주장치실입니다. 이곳은 매우 엄격한 보안과 안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입장 시 직원들은 카드를 인 ...
- [우주기자단] 한국 한공 우주 산업 KAI, 인공위성을 쏘다.기사 l20250714
- 먼 옛날에는 밤하늘의 별자리를 신화속 인물로 상상하며 신들이 사는 우주로 바라보았고,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천동설을 오랜 기간 믿으며 우주를 이해했습니다. 천동설 (출처 : 위키백과)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는 이론은 과학을 기반으로 우주를 탐구하기 시작하며 틀렸음을 확인했습니다.즉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며 지구가 우주의 ...
- 현장 교육기사 l20250714
- 어떻게 환경조사를 하는지 조류조사표와 하천 조사 작성방법도 배우는 시간이였습니다.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의 탐사기록과 조사기간동안 데이터들이 모아지면, 생태연구원님들께서 새들이 어떤 서식지를 선호하는지, 우리나라 하천의 생태계에서 새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내용으로 연구활동을 하는 시민과학프로젝트입니다.2주에 한 번 우리 주변 하천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