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선생"(으)로 총 3,2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기자단) 2025 헬로메이커를 취재하다!기사 l20251017
- 도장 만들기를 했습니다. 먼저 그림을 4개 그리고, 그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그림을 골라서 만들기 선생님들에게 갔습니다. 그러면 선생님들이 모양을 찍어서 그 모양대로 제가 고른 틀 속에 삽입해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잉크를 바른 뒤에 예쁜 그림이 나올 때까지 계속 반복해서 이면지에 도장을 마구 찍었습니다. 처음에는 거무스레한 얼룩 ...
- 흠 글 쓴 겁니다포스팅 l20251016
- 19살 마지막 겨울날까지, 오직 19년 동안 보호 받는 어린이야." 언니가 잠시 숨을 들이쉬고 다시 이어 말했다."매년 반이 바뀌고 선생님, 친구들이 바뀌잖아. 그때마다 새로운 경험과 새로운 공부를 해. 근데, 어른들은 그게 아니야. 계속 어른이라는 틀에 박혀 살아. 오직, 어른이라는 이유로 혼자 짊어져. 하지만, 어린이는 그렇지 않잖아. 그래 ...
- 아 영어교사포스팅 l20251015
- 어떤 사람이 되고 싶냐고 자기 자신한테 항상 물어보라고 지가 한번 대답해본다면 지는 학생들 삶에 요만큼이라도 도움이 되는 선생님이 되고싶다는데 도움 되겠냐고요. 여기 교사 얘기 올렸다가 관리자한테 잘린적 있어서 ㅏㅇ 더 말 못해요 어쨋든 ... ...
- 이 글 학교에 쓰고 있습니다포스팅 l20251014
- 선생님 몰래 이 글을 학교에서 쓰고 있어요!여려분은 학교에서 선생님 몰래 팝플 들어간 적 있나요? ...
- 전 잘한 건가요?포스팅 l20251013
- 내일 학교서 역사 대단평 보는데,제가 약간선생님?(우리반 여자애들 한 7명 가르쳐 주고 복습해주는)구래서, 특정 점수 넘으면 간식 사준다고 했는데,잘한 건지 아닌지.내지갑 잘가~~~~~~~~~~(탈탈)여러분은 역사 좋아하세요?(전 수학도 좋은데 역사가 더 좋고)모두 쫀밤 보내세요!!!!!!! ...
- 제39회 인촌상 시상식에서 김범준 교수님을 만나다.기사 l20251012
- 선생님은 고려대학교를 세운 교육가이자, 동아일보를 창간한 언론인이고,나라를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였어요. 그래서 김성수 선생님의 뜻을 이어 “나라의 미래를 밝히는 사람을 기리자!”는 마음으로 1967년에 만들어진 상이 바로 인촌상이에요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의 김범준 교수님을 만나 놀라운 과학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김 교수님 ...
- [출동!!기자단]제39회 인촌상 시상식을 가다!!기사 l20251012
- 김은우 기자 입니다. 9월 30일 제39회 인촌상 시상식에 다녀왔습니다. 인촌상은 인촌 김성수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대한민국의 문화를 발전하고,문화강국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 입니다. 수여 분야는 교육 언론•문화 인문•사회 과학•기술 분야로 이루어져 있고, 이외 분야는 특별상을 수상한다고 합니다. 수상자는 교육:해밀학교 ...
- 취향 참……포스팅 l20251009
- 이미지: 구글 (하이큐!!/안녕 절망선생/진격의거인/귀멸의칼날/체인소맨/기동전사건담00/포켓몬스터/쿠킹덤/슬램덩크)최애들 꼴좀 보세요 너무 잘생겼죠(?)((((( 기본적으로 무채색에 시꺼먼애들 좋아하는것 같네요 ㅋㅋㅋ;;; 그리고 약간 서?사? 있거나 재능충들... (하다못해 블래키도 탱커로 쎄고...)(저기 캐중 세명이 카미야히로시 성우분.. ...
- [기사콘챌린지]그거 알아? 우리 주변에 점자가 있어!기사 l20251007
- 빼고 모두 63개 점의 형태를 가지고 점자를 표기 합니다.최초 점자는 프랑스인 루이브라유가 만들었고, 한글 점자는 송암 박두성 선생께서 만드셨습니다. 이 점자는 '점자로 세상을 열다!'라는 뜻 입니다.^^ (출처:한국 국립국어원) (지금 부터는 가든 파이브에서 찍은 사진을 사용하겠습니다.) 다들 아시는대로 이것은 엘리베이터 버튼입니다. 대부분 ...
- [개천에서 새난다 3차 합동조사] 서울의 성내천에 어떤 새들이 살고 있을까?기사 l20251005
- 알게 되었습니다. 호수의 물빛과 같은 파란색 깃털을 가진 물까치가 가는 길 마다 우리 일행를 반겨 주는 듯도 했습니다. 탐사선생님이 검은직박구리과를 찾아보자고 대원들에게 미션을 주었으나, 아무도 그 새를 찾지 못하고 그 새의 지저귐만 듣고 끝나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직박구리는 금새 찾아냈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