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310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해양 사물인터넷 통신망 시험 검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ETRI)은 실제 해역에서 '해양 사물인터넷(MIoT)' 통신망을 구축해 최대 35km 통신
거리
와 30기 단말의 동시 접속을 실현했다고 10일 밝혔다.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에서 정의한 사물인터넷 국제표준 기술을 실제 바다에서 시험해 검증한 첫 사례다. 향후 해양 안전과 환경 관리 전반에 폭넓게 활용될 ... ...
리튬메탈전지 난제 해결…12분 충전으로 800km 주행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단축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전해액을 사용하면 고에너지밀도를 유지하면서도 긴 주행
거리
와 초고속 충전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FRL 설립 이후 4년간 이어온 산학 협력이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 ...
[사이언스게시판] 별과 우주, 더 가까이…국립과천과학관·한국천문학회 손잡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것으로 기대된다. 변우진 ETRI 대경권연구본부장은 "이번 성과는 다양한 조명, 날씨,
거리
, 객체 크기, 장애물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우리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입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3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박사후연구원 연수성과교류회를 ... ...
금 나노클러스터로 전기전도성 정밀 제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가장 잘 통하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나노클러스터 간
거리
뿐 아니라 금속 이온을 바꿔 전자 구조까지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와 전기 센서 개발 등 미래 전자소자 설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 ...
전기차 주행
거리
20% 늘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 양산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4배 이상 증가시킨 고용량·고품질 음극을 안정적으로 제조했다. 전기차에 적용하면 주행
거리
를 약 20% 이상 늘릴 수 있는 성능이다. 연구팀은 파우치형 셀을 제작해 전기화학 특성 평가 및 국내·외 원천특허 등록까지 완료했다. 2021년 기술료 11억원으로 기술이전받은 JNC머트리얼즈는 충북 제천시 ... ...
우주청 예산 1조원 시대 연다…올해 대비 15% 늘어난 1조1131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강화 및 신기술 확보 △위성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도전적 탐사로 미래 우주 먹
거리
창출 △미래 항공기술 선점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 및 실용적 외교 등 6대 분야에 투입될 예정이다. 우주수송 역량 강화 및 신기술 확보 예산은 2 ... ...
"반도체 우등생 한국이 놓치고 있는 전력 반도체"
과학동아
l
2025.08.30
손실은 고작 1%다. 그런데 HVDC는 비용이 많이 든다. 그래서 송전
거리
가 100km 이상인 장
거리
송전에서야 비싼 비용을 감수하고라도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강조된다. 6월 13일 히타치 에너지 본사에서 만난 니콜라스 페르손 부사장은 “한국의 경우 탄소중립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발전 ... ...
상용 인터넷망에서 양자신호 97% 정확도로 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양자 상태는 주변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해 손상되기 쉽다. 양자 신호를 손상 없이 먼
거리
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양자 네트워크 구축의 핵심 과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이 양자 네트워크 구축에 사용한 장비 일부. Sylvia Zhang 제공 연구팀은 기존 '고전 신호'와 양자 신호를 ... ...
인공태양 핵융합 돌파구...핵폐기물서 원료 생산하고 반응률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하지만 산출되는 에너지는 10억분의 1와트에 불과하다. 실질적인 에너지 생산과는
거리
가 멀지만 이번 결과는 ‘초고온 플라즈마 압축’이라는 기존 단일한 접근 방식만으로는 풀기 어려웠던 핵융합 반응률 제고에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핵폐기물 활용해 삼중수소 생산 ... ...
[시민과학풀씨]⑤ 남생이 서식지 빼앗는 외래거북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24
FID는 ‘Flight Initiation Distance’를 줄인 말로 사람이 다가왔을 때 거북이 피하기 시작하는
거리
다. 인간을 자주 만나 친숙한 거북일수록 FID가 짧고 인간을 낯설고 위험하게 느끼는 거북일수록 FID가 길다. FID가 너무 길거나 짧으면 거북이 아주 예민하거나 지나치게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