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자료
관련데이타
뉴스
"
관련데이터
"(으)로 총 3,45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금융 해킹에 의료데이터도 우려?…"안전한 양질 데이터로 AI바이오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KISTI는 19일 서울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 보르도 홀에서 연구자, 의료계, 산업계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 사업 성과교류회'를 개최했다. KISTI 제공 "인공지능(AI) 기반 바이오 혁신의 시작은 '데이터'입니다. 양질의 데이터를 잘 쌓을 수 있도록 정책적 보완이 ... ...
꿀벌의 사회성 유전자, 인간 사회성과도 연결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초소형 바코드가 부착된 서양 꿀벌. Dr. Zachary Huang 제공. 꿀벌의 사교 행동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인간의 사회성과도 연결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회성이 단순히 각 종이 독립적으로 진화시킨 행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안 트라니엘로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신경과학과 교수 ... ...
MBTI, 참을 수 없는 인간 분류의 가벼움
2025.09.20
MBTI.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팔이 길고 다리가 짧은 거 보니 당신 '든든한 고릴라' 체형이군요!" 처음 만난 사람에게 이런 말을 듣는다고 상상해 보라. 당장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반면 'MBTI'로 대표되는 성격 유형 테스트는 어색한 자리에서 대화의 물꼬를 트는 가벼운 주제로 받아들여 ... ...
번개 한번에 나무 3.5그루 죽어…기후변화에도 영향?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20
번개.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번개는 구름에서 번쩍이는 전기 불꽃이 나오는 현상입니다. 구름 안의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 중 양전하를 띤 입자들은 구름 위쪽에 음전하를 띤 입자들은 아래쪽에 쌓여요. 서로 다른 전하를 띤 입자들은 강하게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름 위아래의 입자 ... ...
20년 내 생길 1000개 질병 예측 AI...투명성도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AI로 질병 1000개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질병 진단, 질병 조기 예측, 의료영상 판독 등에 활용되는 '의료 인공지능(AI)'은 사람 의사를 보조하는 역할로 의료 현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 최근에는 질병 조기 예측을 위한 AI가 치료 시기를 앞당겨 환자의 ... ...
[과기원NOW] GIST, 초소형 드론용 센서 보정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김민지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로봇공학과 학생(왼쪽)과 김표진 교수.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표진 기계로봇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경량 드론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 보정 기술 ‘스플라이스(SPLiCE)’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스플라이스는 단일방향 라이다(LiDAR)와 카메라의 위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항공청, ‘위성활용 혁신기반 조성사업’으로 위성정보 민간 개방 가속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우주항공청 로고. 우주항공청 제공. ■ 우주항공청은 ‘위성활용 혁신기반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개방형 위성영상 서비스시스템 관련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위성활용 혁신기반 조성사업은 국가 위성정보를 민간에 개방하고 인공지능(AI)과 위성데이터 융합을 ... ...
전세계 폭염 4건 중 1건은 '인간' 때문에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9.15
폭염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 세계를 괴롭히는 폭염이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활동이나 요소가 폭염에 책임이 있는지는 아직 명확히 가려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이 인류의 어떤 구체적인 활동이 얼마나 폭염에 '기여'했는지 책임 ... ...
'신들의 주사위' 가능할까…진짜 랜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5.09.13
과학동아 제공 10234719572… 이처럼 무작위하게 나열된 숫자를 '난수’라고 부릅니다. 난수는 보드게임부터 보안 분야까지 우리의 삶 수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난수를 제대로 만드는 방법이 최근 발표됐습니다. '신의 주사위 놀이’로 불리는 양자역학을 이용해 양자난수를 만 ... ...
블랙홀 합쳐지는 전과정 '샅샅이''…아인슈타인·호킹 이론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두 블랙홀이 충돌해 합쳐질 때 중력파가 방출된다. 올해 1월 기록된 'GW250114'는 지금까지 가장 뚜렷한 중력파 신호로 블랙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사이먼스 재단 제공. 과학자들이 블랙홀이 충돌하는 전과정을 추적하고 당대 최고의 천재 과학자로 불렸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