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뉴스
"
마리
"(으)로 총 2,37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개미들이 전쟁 없이 공존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유지될 수 있는지 별도 실험을 진행했다. 칼로 두 개미 종 사이의 벽을 잘라냈더니 수천
마리
의 일개미들이 즉시 격렬한 전투에 돌입했고 30분도 안 돼 거의 전부가 죽었다. 연구팀은 "구획화를 파괴하면 안정성이 사라진다"며 "서로의 방이 구분돼 있고 경계가 있어야 그들은 같이 공존할 수 있다 ... ...
생쥐 전체 신경 지도 완성…초고속 3D이미징으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기술은 그 한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성체 생쥐 16
마리
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방식의 형광 표지 기법을 사용해 실험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일부 생쥐는 특정 뉴런에서 형광 단백질이 스스로 만들어지도록 유전적으로 조작했다. 일부 생쥐에게는 교감신경계의 ... ...
플라스틱 먹어 분해한 뒤 지방으로 저장하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폴리에틸렌(PE)을 섭취하고 이를 짧은 시간 내에 분해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선 약 2000
마리
의 왁스웜이 0.5g 무게의 폴리에틸렌 비닐봉지 한 장을 24시간 이내에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왁스웜은 섭취한 플라스틱을 분해해 지방으로 바꿔 축적했다. 연구팀은 분자생물학, 생리학, ... ...
[동물do감] 원숭이도 사람처럼 '싸움 구경'에 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네덜란드 영장류 연구센터에서 생활하는 긴꼬리마카크원숭이(학명 Macaca fascicularis) 28
마리
에게 2분 길이의 동영상을 보여주고 화면 시청 시간과 반응 행동 등을 기록했다. 영상은 총 8종류다. 자신이 속한 집단의 구성원이 등장하거나 살면서 마주친 적 없는 낯선 원숭이들이 등장하는 영상이다. 각 ... ...
"인간의 가부장 문화, 과거 영장류부터 이어졌다는 주장 틀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통해 번식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얻는다는 설명이다. 차크마개코원숭이 두
마리
가 다투고 있다. 수컷(오른쪽)의 몸집이 암컷보다 약 2배 크다. Alecia Carter 제공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영장류에서 수컷과 암컷의 우위 관계가 명확하지 않고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며 ... ...
50년 러브버그 연구 美 곤충학자 "살충제 효과 없다…출현 패턴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외부보다 높은 상태)을 형성해 건물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러브버그 몇
마리
가 건물 안으로 들어오면 진공청소기를 사용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건물에서 바람이 잘 부는 쪽 창문과 문에 방충망을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Q. 천적도 없나. 장기적으로 개체수를 줄일 방법은 ... ...
[동물do감] 침대 만드는 오랑우탄…밤잠 부족하면 낮잠 늘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분석 결과 오랑우탄은 밤잠과 낮잠을 합쳐 하루 약 13시간 잠을 잤다. 오랑우탄을 한
마리
씩 집중 관찰한 적어도 1번 낮잠을 잔 경우는 455일 중 41%에 달했다. 낮잠은 하루 최대 4번까지 자는 것으로 기록됐다. 평균 낮잠 시간은 76분이다. 오랑우탄은 낮잠을 잘 때도 둥지를 짓는다. 낮잠용 둥지를 ... ...
'해조류 수건'으로 서로 몸 긁어주는 범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미국 워싱턴주 사이에 있는 살리시해(Salish Sea)에 사는 73
마리
의 범고래 아종(학명 Orcinus orca ater) 집단을 항공으로 영상 촬영해 관찰하던 중 특이한 행동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범고래의 사냥 및 사회적 행동을 관찰·분석하고 있다. 범고래들은 갈색 해조류 줄기의 ... ...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황폐해진 것이다. 1995년,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생태학자들은 캐나다에서 늑대 14
마리
를 데려와 옐로스톤에 풀어줬다. 그러자 옐로스톤에 다시 아름드리나무가 자랐고 나무에 깃드는 새와, 나무로 댐을 짓는 비버가 돌아왔다. 비버가 강에 댐을 만들면서 강 생태계 또한 풍부해졌다. 늑대의 ... ...
[사이언스영상] 로봇의 하품을 따라한 침팬지
SEIZE
l
2025.06.21
33살 침팬지 14
마리
에게 이 로봇의 세 표정을 15분간 네 차례 보여줬다. 그 결과, 14
마리
중 8
마리
의 침팬지가 로봇을 따라 하품했다. 일부 침팬지는 하품한 뒤에 나뭇잎이나 나뭇가지를 모아 잠자리를 만들고 눕기도 했다. 이는 하품이 단순한 생리 현상이 아니라 휴식의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