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뽑아내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국제학술지 '브리핑스 인 바이오인포매틱스'에 공개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모델은
박테리아
종별 고유 유전자 정보와 다양한 항균 펩타이드 간의 상관관계 데이터를 학습해 감염병을 유발한 세균에 최적화된 항균 펩타이드를 선별할 수 있다. 균종 특이적 정밀의료 기술과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 ...
공기 중 떠다니는 항생제내성균, 유전자가위로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임은경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은 고가 장비 없이도 공기 중
박테리아
를 누구나, 어디서나,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획기적인 현장형 진단 기술"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에 지난달 6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16/j.jhazmat.2 ... ...
모기 유충 없애는
박테리아
발견…친환경 살충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열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를 매개하는 지하집모기 유충을 사멸시킨다는 점을 발견했다.
박테리아
대사산물에 노출된 지하집모기 유충은 24시간 내 100% 사멸됐다. 연구팀은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모기를 사멸시키는 생물농약을 만들면 기존 화학 살충제로 발생하는 내성을 ... ...
서울, 러브버그 정착한 첫 온대지역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41개체에서 검출된 453종의
박테리아
를 검출해 분석한 결과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박테리아
는 없었다. 레플라 교수는 "러브버그 체액은 중성이지만 사체나 러브버그 알이 햇빛에 의해 달궈지면 24시간 내에 pH 4.25 수준의 산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자동차 도색을 부식시키는 등 문제를 일으킬 수 ... ...
세포 기능 AI로 재현한 '가상세포' 개발에 뛰어드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컴퓨터를 사용해 세포 행동을 모델링해 왔다. 2012년 과학자들은 단 525개의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계산모델을 개발했다. AI가 발달하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보다 복잡한 가상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가 ... ...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전달한다. 마그달레나강에 갑자기 어마어마한 영양분이 유입된 것이다. 하마 똥을 먹는
박테리아
가 과하게 번식했고 과학자들은 이 때문에 물속 산소가 부족해져 어류가 폐사할 거란 경고를 내놓았다. (doi: 10.1017/S0030605318001588) 하마는 낮 동안 해를 피해 얕은 물가를 걸어 다닌다. 원래라면 ... ...
빨판으로 유해한 미생물 감지하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감지하는 화학물질도 찾았다. 게 껍데기에 존재하는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라는
박테리아
가 생성하는 ‘H3C’와 비브리오 메디테라네이가 알 표면에서 생성하는 ‘LUM이 문어가 가장 잘 감지하는 화학물질이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게에 H3C를 바른 뒤 문어가 보이는 행동도 ... ...
암 찾아가는
박테리아
가 빛 밝혀 암세포 정밀하게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융합, 안전성 평가 등을 병행하며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서 연구원은 “연구는
박테리아
가 암을 스스로 찾아가 형광 신호를 내도록 설계함으로써 암 수술 중 실시간으로 암의 위치와 경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한 데 의의가 있다”며 “특정 암종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고형암에 ... ...
폐 손상 막는 법, 엉겅퀴서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공급이나 기계적 인공호흡 같은 보조적 치료에 주로 의존한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박테리아
독소를 주입해 ARDS 모델을 만든 후 엉겅퀴 추출물을 주입했다. 그 결과 염증세포 침윤, 폐포벽 두꺼워짐, 히알린막 형성 등 ARDS의 주요 병리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됐다. 엉겅퀴 추출물은 폐에서 발견되는 ... ...
'미세방울 유전자치료'로 슈퍼
박테리아
무력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정현정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
박테리아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치료 플랫폼을 개발했다. 미세방울(microbubble)을 이용해 세균의 방어막을 무너뜨리고 유전자 억제제를 정확히 전달해 항생제가 듣지 않는 감염증을 억제하는 이중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