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번데기"(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 하는지는 알 수 없다. 월동 중인 네발나비 각시멧노랑나비 월동형 알로 애벌레로 번데기로 어른벌레로 각각 적응을 해가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가려 사는 곤충 생활사는 서로간의 쓸모없는 경쟁을 피하려는 진화된 생존 전략이다. 인간조차도 제어할 수 없는 원천적 위험상황인 계절의 순환을 ... ...
- "작은 싹이지만 인류에겐 위대한 도약" 창어4호, 달에서 목화씨 싹 틔웠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6
- 물, 공기가 들어있다. 중국 과학자들은 이 안에 감자와 목화, 유채, 애기장대와 초파리의 번데기, 효모를 넣고 하나의 생태계를 만들었다. 또 용기에 온도 조절 장치를 달아 1도에서 30도 사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했다. 3㎏ 무게의 용기 하나를 제작하는데 천만 위안(약 16억 5천만 원)이 들었다. 창어 ... ...
- [이강운의 곤충記] 감추어진 애벌레, 뚜껑을 열다2019.01.09
- 되는 게 일반적이라 당연히 고치로 월동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번데기 되기 전 마지막 애벌레 상태였다. 고치가 아닌 고치 속 애벌레로 겨울을 나고 있었다. 노랑쐐기나방 고치 꼬마얼룩무늬쐐기나방 고치 꼬마얼룩무늬쐐기나방 고치 속 월동 애벌레 알 속 애벌레나 고치 속 ... ...
- [이강운의 곤충記]곤충의 겨울나기…한겨울에 살아남지 못하면 다 죽는다2018.12.27
- 생존전략을 택했다. 사람 눈에만 띄지 않을 뿐이지 ‘알’이나 ‘애벌레’로, 단단한 ‘번데기’나 ‘고치’로, 혹은 ‘어른벌레’ 상태로 자신의 몸에 맞는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혹한과 찬바람을 감내한다. 다음 세대를 잇기 위해 몸속에 온갖 무기를 장착한 채 흔적을 남기지 않고 죽은 듯 겨울과 ... ...
- [이강운의 곤충記]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2018.11.29
- 곤충들은 자신들이 행복한 줄 알까? 매부리류 바퀴벌레과 비단벌레과 하늘소과 나방 번데기 및 고치 좀잠자리과 ※ 참조 : 국명은 편의상 필자가 영명과 학명을 근거로 이름 붙임.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2018.08.22
- 만들었다. 애반딧불이 번데기 발광 - 오흥식 박사 제공 움직이지 못하는 알이나 번데기는 비록 약한 빛이나 움직일 수 없어 앉은 채로 먹힐 수 있다. 풀 사이로 기어 다니는 애벌레도 숨어서 움직이지만 쉽게 표적이 된다. 그러나 짝 찾아 날아다니는 어른 반딧불이의 연한 초록 등불은 어둠 속 ... ...
- 곤충 웹툰작가 갈로아가 해설하는 앤트맨과 와스프 인터뷰과학동아 l2018.08.15
- 없는 값진 과학 지식이 이 웹툰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일부 나비는 성충 수컷이 아직 번데기 상태인 암컷과 짝짓기를 해 수정을 한다거나, 파리매(밑들이)가 파리를 선물로 주면서 구애를 한다든지 하는 정보를 주는 식이다. 카메오로 등장하는 동물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공룡 만화인지 헷갈릴 ... ...
- 곤충 웹툰작가 갈로아가 해설하는 앤트맨과 와스프과학동아 l2018.07.25
- 없는 값진 과학 지식이 이 웹툰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일부 나비는 성충 수컷이 아직 번데기 상태인 암컷과 짝짓기를 해 수정을 한다거나, 파리매가 파리를 선물로 주면서 구애를 한다든지 하는 정보를 주는 식이다. 카메오로 등장하는 동물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공룡 만화인지 헷갈릴 만큼 ... ...
-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07.02
- 행동생태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하늘소의 애벌레가 어떤 식물을 먹는지, 언제 번데기가 되고 성충이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있다. 연구실에서는 DNA를 분석해 하늘소의 가계도를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진화했는지도 연구하고 있다. Q. 언제부터 하늘소의 매력에 빠졌나? 아주 어렸을 ...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2018.06.06
- 찬 기온이 도는 4월초. 어른 엄지손가락보다도 약간 크고 투박하며 굵직한 마디가 있는 번데기에서 대왕박각시가 스멀스멀 기어 나왔다. 박각시 나방의 알(위)과 부화한 알(아래)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날개를 달고 짝짓기 한 후 자두나무에 조심스럽게 낳았던 연둣빛 알이 부화 후 애벌레가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