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뉴스
"
안
"(으)로 총 10,53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AI 전환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2025.09.25
의존해서 정책을 펴서도
안
되며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아마추어 바둑에서도 최소한 10수를 내다봐야 고수라 한다. AI 전환의 시대에 몇 수 앞을 내다보는 정책만이 국가의 미래를 지킬 수 있다 ... ...
"사과 식초가 체중 감량 돕는다"는 논문, 게재학술지가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4
사과즙 발효 식초가 살을 빼는 데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신뢰성 부족으로 철회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과를 으깬 뒤 효모와 박테리아를 넣어 ... “기자를 비롯해 누구든 더 이상 이 연구 결과를 보도에 참고하거나 사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doi.org/10.1136/bmjnph-2023-00082 ... ...
바이러스 없이 유전자가위 전달하는 난청 치료 플랫폼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새로운 유전자가위 전달체는 가위 역할을 하는 캐스9 단백질과 가위를 표적 유전자로
안
내하는 단일가이드 리보핵산(sgRNA)을 합친 ‘엔지니어드 바이러스 유사 입자’(eVLP)다. 연구팀은 유전성 난청을 유발한 쥐에게 개발한 eVLP 플랫폼을 적용했다. 그 결과 7주 후 청력검사에서 잘 못 듣던 쥐가 약 ... ...
"임신부 타이레놀 복용, 아이 자폐 위험" 트럼프 주장에 과학계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최고과학책임자는 현지 언론에 “류코보린이 자폐를 완치하는 약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며 “누가 어떤 조건에서 효과를 볼 수 있는지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변이로 '접힘' 불
안
정한 단백질 구조 회복 입증…희귀질환 치료 열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수년씩 걸리던 맞춤형 신약 대신 여러 유전성 질환에 공통으로 쓸 수 있는 단백질
안
정화 약물을 찾아 더 빠르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doi.org/10.1038/s41594-025-01659- ... ...
통신·금융 해킹에 의료데이터도 우려?…"
안
전한 양질 데이터로 AI바이오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데이터를 K-BDS에 등록하고 천연물 데이터 표준화 위원회를 운영하며 천연물 데이터 표준
안
을 마련했다"고 했다. 또 퇴행성 뇌질환 특이적 소재 탐색을 위해 사전학습 기반 모델과 해석 가능한 응용모델을 개발해 신규 후보소재를 도출했다. 인 실리코(In silico) 모델링 컴퓨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 ...
거시세계에서 '양자 스퀴징' 첫 증명…더 정교한 양자센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설명이다. 광자나 원자보다 훨씬 큰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물체에 대해서는 그동
안
양자 스퀴징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주변 환경과 끊임없이 에너지를 주고받는 거시세계에서는 양자 특성이 쉽게 소멸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극저온 진공 상태에서 유리 나노입자를 고속으로 ... ...
AI가 설계한 최초 바이러스, 항생제
안
듣는 대장균 사멸 유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박테리오파지가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내성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가 합성됐다. 내성 박테리아는 항생제에 저항해 생존하는 박테리아다.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 ...
꿀벌의 사회성 유전자, 인간 사회성과도 연결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행동을 추적했다. 꿀벌에 각각 초소형 바코드를 부착한 뒤 유리벽으로 된 관찰 벌통
안
에서 꿀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자동으로 기록했다. 분석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전장 유전체 분석(WGS)을 통해 꿀벌의 DNA 전체를 해독하고 개체별 유전적 변이를 파악했다. 이어 뇌 ... ...
번개 한번에 나무 3.5그루 죽어…기후변화에도 영향?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20
발생 횟수를 조합해 수학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모델을 활용해 지구에서 1년 동
안
번개에 의해 죽는 나무의 수를 추정했어요. 그 결과 매년 약 3억 그루의 나무가 번개에 맞아 죽는다는 계산이 나왔어요. 이중 지름 60cm가 넘는 큰 나무는 약 2400만~3600만 그루였습니다. 죽은 나무는 곰팡이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