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뉴스
"
애벌레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나비 날개의 동위원소도 분석했다. 나비
애벌레
가 특정 지역의 식물을 먹으면 이 식물이 갖고 있던 지역 특유의 동위원소 분포를 갖게 된다. 나비의 동위원소를 조사해 이들이 서유럽,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는 점을 밝혔다. 연구팀은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민감하고 포식자의 날갯짓 주파수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
애벌레
에게서 전기 자극 수용이 확인된 것은 다른 많은 육상 동물들도 이런 능력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전기가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 ...
애벌레
도 60초면 출혈 멈춰…"지혈 약물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이후 혈림프 속 혈구세포들은 상처 표면으로 이동해 딱지를 형성했다. 연구팀은
애벌레
의 출혈이 보통 60~90초 후면 멈췄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바퀴벌레 등 18종의 곤충에서 비슷한 과정을 관찰했다"며 "혈림프가 물질 특성을 순간적으로 변화시키는 놀라운 능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이전에 비해 75% 감소됐다. 브루드 텐 출현 이전보다 개체수가 2배 이상 늘어난
애벌레
들은 숙주인 참나무를 갉아먹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참나무 잎의 손상도도 2배로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연구팀은 주기 매미의 대량 출현으로 인해 "계단식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이 깨졌다"고 설명했다.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10
새로운 모기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신이현 한국방역협회 연구소장은 “모기의
애벌레
인 장구벌레는 잠자리
애벌레
,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의 먹이가 된다”며 “모기가 박멸될 경우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관련기사 ... ...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길쭉한 종이와 같다. 아주 얇은 두께에 가로 70mm, 세로 15mm 형태를 갖고 있다. 이 로봇은
애벌레
처럼 몸을 구부러트려 앞으로 전진하거나 뒤로 움직인다. 속도는 초당 0.5~7mm 정도다. 로봇은 열에 노출될 때 다르게 반응하는 폴리머 2개층으로 만들어졌다. 바닥에 맞닿아 있는 층은 열에 노출되면 ... ...
초파리의 완전한 '뇌 지도'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구별한 뒤 각 뉴런과 시냅스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했다. 분석 결과 초파리
애벌레
의 뇌에 있는 3016개의 뉴런 중 93%는 모든 개체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체 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는 나머지 7%의 뉴런은 학습 및 기억 능력과 관련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뉴런 ... ...
초속 70cm 철제 벽면 타고오르는 사족보행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밝혔다. 과학자들은 사람이 접근하기 위험한 곳의 작업을 대체할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애벌레
를 모사한 등반로봇이나 발이 달린 사족보행 로봇 등이다. 하지만 두 로봇 다 단점을 갖고 있다. 등반 로봇은 바퀴 등을 이용해 단차나 요철이 있는 표면에서는 이동성이 제한되고, 사족보행 로봇 역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번데기 우유'로 공동육아하는 개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7
성장과 체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이 갓 부화한 개미
애벌레
에게 4일간 이 영양물질을 먹지 못하게 하자 성장이 멈추고 상당수는 죽었다. 5종류의 개미에게서 같은 현상이 확인됐다. 이어 개미들이 영양물질을 섭취하지 않은 번데기는 곰팡이에 감염돼 죽는 것으로 ... ...
우유 나오는 번데기로 유충 기른다…사회적 곤충 개미의 의사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통해 분비물의 이동경로를 추적해 개체별로 변화를 살폈다. 개미는 알에서 부화해
애벌레
가 되고 번데기를 거쳐 성충으로 성장한다. 연구팀은 성충이 되기 직전의 번데기가 많은 양의 영양물질을 분비하고 성체가 된 개미가 이 영양물질을 직접 섭취하거나 추후 번데기 껍질 위에서 자라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