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뉴스
"
은하수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6800년만 찾은 귀한 손님 니오와이즈 혜성 붉은꼬리까지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시의성, 대중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한 결과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성모 씨의 '화구와
은하수
'. 지난해 3월 29일 강원 인제에서 촬영됐다. 천문연 제공 공씨가 촬영한 니오와이즈 혜성은 지난해 3월 27일 근지구 천체를 탐사하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니오와이즈(NEOWISE)’ 탐사 위성이 발견한 3 ... ...
2023년 국제우주정거장에 민간인 보내는 리얼리티쇼 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것은 아니다. 영상제작사 소니픽쳐스TV와 네덜란드방송사 네덜란드1이 합작을 계획한 ‘
은하수
미션’을 포함해 이제껏 최소 10번의 우주 리얼리티 쇼 제작이 시도돼 왔다. 하지만 모두 불발됐다. ISS를 운영하고 있는 NASA 측의 촬영허가가 쉽사리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NASA가 지난해 9월 ISS ... ...
고천문 기록 꼼꼼히 정리한 안영숙 책임연구원 올해의 KASI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KASI)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이 올해의 KASI인상을 받게 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여성 천문학자이자 천문역법 현대화에 ...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시상식은 이달 10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
은하수
홀에서 열린 창립기념일 행사에서 진행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광년으로는 약 11.4광년 정도이다. 11광년이면 아주 가까운 거리이다. 참고로, 우리
은하수
은하의 직경이 약 10만 광년에 달한다. 현재 관측한 연주시차는 약 0.287초이다. 이처럼 비교적 가까운 별의 연주시차도 굉장히 작기 때문에 갈릴레오조차 17세기의 기술로는 관측하기 어려웠다. 이 상황을 ... ...
[잠깐과학] ‘빛 공해 금지법’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06
갈 길은 멀지만, 이런 노력이 이어진다면 언젠가는 우리도 다시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은하수
를 볼 수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1호(6.1발행) [이달의 과학사] 거기, 불 좀 끄쇼! '빛 공해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는 ... ...
[과학게시판] 세종과학기술연구원 온라인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통한 정부출연연구소 역할 및 시스템 혁신방안’이다. 대전 유성구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
홀 소회의실에서 온라인 포럼으로 진행된다. 성창모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특임교수가 주제 발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달 29일까지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지정계획’을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은상 수상작 '
은하수
폭포(추지혁)'. 합천군 황계폭포 아래서 하늘에서 폭포처럼 흐르는
은하수
를 함께 촬영했다. 천문연 제공 동상은 정희창씨의 ‘왕궁탑과 헤일 밥 혜성’과 강지수씨의 ‘행성과 달의 박명일주’에게 돌아갔다. 정희창씨의 ‘왕궁탑과 헤일 밥 혜성’은 수십년 동안 관측된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호주의 전파망원경집합체인 스퀘어킬로미터배열패스파인더가 관측하는 하늘 위로
은하수
가 펼쳐져 있다. 36개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먼 은하에서 탄생한 고속전파폭발(FRB)을 관측했다. FRB는 1000분의 1초 정도 지속되는 라디오파로 원래 강력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천문현상에 의해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북섬에 있는 해발고도 2500m 타라나키 활화산 위로 펼쳐진 하늘을 찍었다. 하늘에는
은하수
가 우윳빛깔로 흐르고 그 옆에는 마젤란성운 한 쌍이 보인다. 마젤란성운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은하로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에두아르도 삼파이오/영국왕립학회 제공 동물행동 부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달, 항성과 행성, 오리온자리와 플레이아데스 성단, 목성의 위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은하수
가 별들의 집합이고 성운은 작은 별들의 무리라고 확인했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분량은 그리 많지 않은데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분량을 “메디치의 별”에 할애하고 있다. 목성과 갈릴레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