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뉴스
"
이용
"(으)로 총 15,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미 유행 조류독감 강력한 이유, 국내 연구팀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유전자를 변형시켜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역유전학 기술을
이용
해 북미 유행 계통에 포함된 PB2478I와 NP450N을 유라시아 유행 계통에 든 아미노산으로 교체했다. 그 결과 북미 유행 계통은 전신 감염을 일으키지 않았고 호흡기 감염에 머물렀다. PB2478I와 NP450N 두 변이가 ... ...
힘 빠진 암흑에너지?…우주는 '브레이크' 밟는 중
과학동아
l
2025.09.27
빛의 파장이 길어져 붉은색 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적색 편이라고 한다. 적색 편이를
이용
하면 천체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천체의 좌표와 거리를 확보해 우주 지도를 그린다. “DESI는 지금껏 진행된 프로젝트 중에서 우주 가장 넓은 지도를 제작했습니다. DESI가 7개월 만에 ... ...
[동물do감] 정원사처럼 흙 덩어리로 곰팡이 침입 막는 흰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9.26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흰개미가 곰팡이와 맺은 복잡한 공생 관계뿐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
한 ‘정밀 농법’을 어떻게 진화시켰는지를 보여준는 평가를 받는다. 논문에 대한 해설에서 과학자들은 “흰개미 사례는 농업과 의학, 환경 분야에서 미생물을 활용한 새로운 전략을 고안하는 데 큰 ... ...
GPS 먹통이어도 캔위성으로 위치 확인…경연대회 최우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9.26
연세대A)’과 ‘WE ARE READY팀(연세대B)’이 선정됐다. 심사위원단은 “올해는 캔위성을
이용
해 행성 탐사의 여러 복잡한 과정을 수행한 팀이 나올 정도로 참여 학생들의 실력과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주제의 다양성과 개발 이해도가 깊어졌다”라는 총평을 남겼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 ...
치명적 뇌질환 헌팅턴병, 영국서 유전자 치료 임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뇌에 DNA 조각을 삽입해 독성 단백질 생성을 차단한다. 무해하게 변형된 바이러스를
이용
해 두 개의 뇌 부위에 미세 카테터로 주입한다. 이 과정은 12~20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시술은 고가일 수밖에 없지만 환자와 가족에게는 큰 희망이 된다. 헌팅턴병은 보통 30~40대에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기분 ... ...
뇌 오가노이드로 다양한 약물 효과 한번에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소아 뇌전증 환자의 줄기세포를
이용
해 뇌전증 오가노이드 모델을 개발한 뒤 약물을 주입하고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약물이 미치는 효과가 즉각적으로 확인됐다. 기존의 간접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평가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 ...
유방암 성장 돕는 효소 최초 규명…맞춤형 치료제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있는 몸속에서도 유방암 성장을 돕는다는 증거다. 연구팀은 단백질 정밀 분석 기법을
이용
해 ATE1이 세포 속 신호 전달 경로(MAPK–MYC)를 움직여 암세포가 더 잘 자라고 오래 살아남도록 만든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ATE1이 암을 키우는 단백질인 MYC를 보호해 세포가 멈추지 않고 증식하도록 만들었다. ... ...
실험실에서 자란 자궁내막 등 미니장기…여성 건강 숨은 메커니즘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4
23일 이러한 연구 성과를 집중 조명했다. 2017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이용
해 태반을 모사한 세포 덩어리를 제작했다. 이 세포는 실제 임신 호르몬인 사람 융모성 생식선자극호르몬(HCG)을 분비하며 임신 진단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태반 오가노이드의 가능성을 확인한 ... ...
멸종 전 백악기 남미 '최상위 포식자' 공룡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9.24
속하는 공룡으로 앞발에는 갈고리처럼 구부러진 큰 발톱이 달려 있으며 긴 다리를
이용
해 빠르고 민첩하게 움직였을 것으로 추정됐다. 사냥할 때 날카로운 발톱과 민첩한 몸놀림을 무기로 사용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메가랩토르과는 백악기 후기 남반구에서 번성했던 수각류 공룡으로 가늘고 긴 ... ...
10년 전 '중력파 키즈'였던 과학자 "R&D 예산 삭감으로 매일 악몽"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찾지 못했다. 이 교수 연구실이 샘플을 받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
해 샘플의 코팅층 사이에 미세한 빈 공간(보이드)가 형성돼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제작 공정에서 발생한 구조적 결함이 잡음을 더 높였던 것이다. 나노미터(nm) 수준의 분해능을 갖고 있는 TEM은 시료 내부 구조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