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돋이
해뜨기
삼출
해도지
넘쳐흐름
뉴스
"
일출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년 새해 첫 해는 서울서 7시 47분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계산된 시각이다.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
시각이 빨라져 해발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
시각은 발표 시각에 비해 2분 가량 빠르다. 2021년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고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17시 35분까지 볼 수 있다 ... ...
새끼 박쥐도 사람 아기처럼 옹알이한다
연합뉴스
l
2021.08.20
BBC는 전했다. 이번 연구의 수석연구원인 아하나 페르난데스 박사는 "그들은
일출
부터 일몰까지 옹알이하면서 소리를 연습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박쥐들은 실제로 노래를 부르는 새들처럼 노래한다"며 "그래서 그들은 매우 정교한 음절의 뚜렷한 의사소통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 ...
[주말N수학]"직업은 바꿔도 수학은 어디서든 잘 썼죠"
수학동아
l
2021.04.17
시직경은 약 0.5°이기 때문에, 해가 떠오르는 위치에 독도를 맞춘다면 해가 독도를 품은
일출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떠오를 때를 정확히 포착해 예상 그림과 같은 모습의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권 작가는 당시를 회상하며 “예술적 감각만 있었다면 못 찍었겠지만, 수학에 ... ...
지도상에서 한눈에 기온·강수량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형태를 선택해 매일의 날씨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세먼지 정보와
일출
및 일몰 시간도 날씨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읍면동으로 가능했던 지역 조회도 잠실야구장이나 설악산처럼 주요 시설물이나 공원, 산과 같은 지명도 가능하도록 개선됐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 ...
2021년 뜨는 첫 해는 유튜브로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강원과 경상남북도 일대에도 구름이 짙게 낄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별 연말과 연초
일출
·일몰 시각을 볼 수 있는 홈페이지 http://astro.kasi.re.kr/life/pageView/ ... ...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해돋이 영상을 실시간 촬영해 유튜브를 통해 중계할 예정이다. *지역별 연말과 연초
일출
·일몰 시각을 볼 수 있는 홈페이지 http://astro.kasi.re.kr/life/pageView/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초부터 중순까지
일출
전 북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볼 수 있으며 7월 중순 이후부터는
일출
전 북동쪽 하늘과 일몰 후 북서쪽 하늘에서 모두 볼 수 있다. 현재 밝기가 2등급이며 점점 태양과 멀어지며 어두워질 예정이다. 다만 혜성의 고도가 지상에서 5~10도 정도로 낮아 관측이 어렵다. 천문연은 ... ...
머스크의 지구인터넷 '스타링크' 위성 천체 관측 방해 국내서도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망원경이 촬영한 이미지 중 최대 50%까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스타링크는
일출
과 일몰 전후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기 전까지 약 2시간 동안 태양 빛을 반사하며 빛을 낸다. 낮이 가장 긴 하지 다음날 진행된 이번 관측에선 저녁 9시를 넘어선 시간임에도 다수의 스타링크 위성이 밝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바뀌는데, 위도가 높아질수록 편차가 심하다. 북위 35° 내외인 우리나라는 하지의 낮(
일출
일몰 기준)이 밤보다 5시간 이상 길고 동지에는 5시간 정도 짧다. 안팎으로 10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유럽 인구 대다수가 사는 북위 40° 이상 지역은 차이가 더 심하다. 반면 적도에 가까운 저위도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황도광은 이 먼지 입자들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뜻한다. 일몰 후의 서쪽 하늘이나
일출
천의 동쪽 하늘 지평선에서 원뿔 모양으로 퍼져보이는 황도광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서쪽 하늘의 황도광은 12월에서 3월 사이, 동쪽 하늘의 황도광은 9월에서 12월 사이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이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