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
자연초
잡풀
아교
접합제
김
뉴스
"
잡초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을 뿜는 드론
팝뉴스
l
2019.08.13
영상에는 벌집을 태우는 장면이 나온다.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해충을 박멸하거나
잡초
를 태워 없애는데 이 드론을 활용하라는 의미이다. 위험하지는 않을까.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우려를 표한다. 드론의 가격은 약 160만원 정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가장 풍부한 포도당을 바이오연료로 바꾸는 고성능 미생물 공장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대체하는 바이오 기반 재생에너지를 연구해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폐목재,
잡초
등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바이오매스 주성분인 포도당에서 지방산 및 바이오 디젤로 이용할 수 있는 지방산 유도체를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자연적으로 세포 내 기름을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진 ... ...
미국도 배상 판결···제초제 성분 글리포세이트 끊이지 않는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라운드업의 주요 성분인 '글리포세이트'는 1974년 몬산토사가 개발했다. 이 성분은 특정
잡초
만 없애는 선택적 제초제와 달리, 모든 풀을 없앨 수 있다. 2000년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독점권이 풀리면서 몬산토사 외 다른 업체들도 이 성분으로 제초제를 만들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 ...
식물 종자·동물의 알, 태어나기 전부터 정보교환한다
2019.02.12
하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1일 전했다.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
인 질경이는 다른 식물과 같은 장소에서 무성하기 위해서는 빨리 성장해 경쟁에서 이길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용기에 질경이 씨만을 뿌린 경우와 경쟁상대인 클로버 씨를 동시에 파종한 경우 발아에 걸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즉 살충제와 제초제는 내성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다. 즉 아무리 약을 쳐도 해충이나
잡초
가 잘 죽지 않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해충의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RNA가닥을 만들어 살충제로 쓴다는 전략이 부상했다. 인간세포에 RNA조각을 넣는 일은 꽤 까다롭지만 절지동물의 경우는 RNA를 먹이면 ... ...
공터에 잔디만 깔았을 뿐인데...주민 우울증 확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7.22
자주 눈에 띈다. 범죄 우려 등 때문에 출입을 막는 경우가 많다 보니 관리가 되지 않아
잡초
와 쓰레기만 무성한 곳으로 전락하기 쉽다. 그런데 이런 구역을 녹지로 바꾸면 주변 거주민들의 우울증 발생 위험을 극적으로 감소시키는 등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
달콤살벌한 식충식물의 사냥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9
자라는
잡초
의 잎사귀에 죽은 곤충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기 때문이죠. 놀란 다윈은 이
잡초
가 끈적거리는 액체로 곤충을 잡아 소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식물’, 식충식물의 모습이 알려지는 순간이었죠. 끈끈이주걱이 포획한 곤충을 소화시키는 현미경 사진 -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수확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항생제를 쓰면 쓸수록 강해지는 바이러스처럼 내성을 가진
잡초
와 해충이 등장하게 만든다. 건강에 관심이 높아진 요즘 더 큰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약물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사용됐다는 것이다. Science 제공 5월 셋째주 ... ...
유전자 가위로 바이러스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사이언스 제공 한 자락 남은
잡초
들 마저 사라질 위기. 땅에는 애벌레 모양이 원호을 그리며 움푹 패여 있다. 마치 애벌레가 땅의 양분을 뽑아먹고 성장하는 만큼 주위의 다른 생명들은 죽어가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 같다. 메마른 땅과
잡초
, 애벌레 문양등 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식물(학명 Aristolochia clematitis)이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밀을 수확할 때 함께 자라던
잡초
아리스톨로키아 클레마티티스의 씨앗도 밀알에 섞여 들어갔고 이를 먹은 사람들이 탈이 난 것이다. 물론 이 경우는 섭취하는 양이 적어 수십 년이 지나서야 증상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이를 ‘발칸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