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언론 신속·정확하게 잇는다…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 공식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이 축사를 했으며, 설립위원장을 맡았던 홍성욱 서울대 과학
학과
교수와 글로벌 사이언스미디어센터의 축하 영상이 상영됐다. 이어 이근영 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장의 비전 발표가 이어졌다.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과학기술의 혁신과 변화는 이미 국경을 ... ...
거시세계에서 '양자 스퀴징' 첫 증명…더 정교한 양자센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실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이카와 교수는 구현한 나노입자 시스템이 "양자역
학과
고전역학 사이의 전환 과정을 탐구하고 미래에 새로운 형태의 양자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doi.org/10.1126/science.ady465 ... ...
'괴짜 노벨상' 이그노벨상 시상식 '반쪽짜리'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사실을 확인해 항공상을 수상한 베리 핀쇼 이스라엘 네게브벤구리온대 생리생태
학과
교수는 건강 문제, 가족 문제 등을 이유를 밝혔으나 더불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우려로 불참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현재의 정치적 분위기에서 해외 여행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이다. 에이브러햄스는 ... ...
제주 해녀의 ‘폭싹 속았던’ 세월, 유전자에 남아있다
과학동아
l
2025.09.20
추운 바다에서 물질을 하던 해녀의 신체적 특성은 연구 가치가 높다. 이주영 서울대 의류
학과
교수는 극저온 환경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방법을 연구한다. 그는 "앞으로 5년이 해녀 연구의 골든 타임"이라고 말했다. 한국저작권위원회 제공 한국에서 해녀 연구의 명맥이 끊긴 사이 해녀의 생리의학적 ... ...
바다 울음소리의 비밀…밍크고래
2025.09.20
찾던 배. 위키미디어 제공 2014년 알래스테어 버틀스 호주 제임스쿡대 해양생물
학과
연구원팀은 난쟁이밍크고래가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시간은 평균 120분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011년 아놀드 휴버트 망고트 호주 제임스쿡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원팀은 평균 약 4시간 동안 바다에서 ... ...
[과기원NOW] KAIST, 호모 사피엔스 저자 '조지프 헨릭' 교수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비정상적으로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표진 기계로봇공
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경량 드론에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센서 보정 기술 '스플라이스(SPLiCE·Single-Point LiDAR and Camera Calibration & Estimation)'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개발한 기술은 단일 방향 라이다(LiDAR)와 ... ...
명왕성 닮은 '간식' 먹는 백색왜성…"미래 태양계 엿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삼키는 백색왜성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스네할라타 사후 영국 워릭대 물리
학과
교수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1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영국왕립천문학회 월간지'에 공개됐다. 백색왜성은 태양과 같은 별이 핵융합 연료를 다 소진한 늙은 별이다. 에너지를 더 만들지 못하고 서서히 ... ...
고전컴퓨터에 양자컴 결합해 신소재 특성 계산 정확도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용이한 '양자시뮬레이터'에 주목했다. 이진형 KIST 양자시뮬레이터 사업단장(한양대 물리
학과
교수)은 양자시뮬레이터를 전자계산기에 비유했다. 이 단장은 "계산에 특화된 전자계산기도 일종의 컴퓨터"라며 "양자시뮬레이터도 양자컴퓨터의 일종이지만 특정 계산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범용 ... ...
사회공헌 영역 넓히는 롯데물산, 어린이 과학 교육 프로그램 '123 과학 탐험대'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맞춰 소개했다. 또한 인기 유튜브 채널 '범준에 물리다'를 운영하는 김범준 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를 강사로 초빙해 롯데월드타워에 적용된 과학기술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123 과학 탐험대'에 참여한 김나윤 학생(서울 두산초교 5학년)은 “롯데월드타워를 어떻게 ... ...
[길잃은 차세대발사체] "더 늦어지면 촛불시위 나설 것"…지식재산권·공정성 문제도 남아 (하)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우주청 안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강하게 나오고 있다고 알려진다. 한 항공우주
학과
교수는 "어떤 결과가 나오든 이제 우주청이 겸허히 결과를 받아들이고 우주 생태계 전체를 바라봐야 한다"며 "치밀한 계획과 전략으로 불거진 문제를 하나씩 현명하게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