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자말
한어
한문
뉴스
"
한자어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감! 과학용어] ⑦ "어려운 용어 부연설명 여부 판단 기준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단어 간 일치하지 않는 사례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같은 맥락으로 '액와'처럼 어려운
한자어
등은 '겨드랑이'처럼 우리가 흔히 쓰는 단어로 대체해 이해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친절한 설명을 위해서는 충분한 소통을 통해 과학자와 대중 간 간극을 메워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
[공감! 과학용어] ⑥커뮤니케이터들도 어찌할 수 없다...설명 부족한 용어들
2022.12.08
활용한 표면가공 공법인 ‘식각’이나 뇌 속 구조의 한 부분인 ‘선조체’ 등도
한자어
이면서 곧바로 이해가 어려운 단어로 언급됐다. ● 아직 개념이 확립되지 않았거나 ‘너무 어려운’ 용어들 전문용어 중에서는 학계에서 아직까지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은 용어도 있다.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⑭ 의학용어 개정은 미래 세대를 위한 것
2022.11.29
때문이다. 결국 의학용어의 개정도 순우리말만을 고집하는 것보다는 일반인도 익숙한
한자어
의학용어라면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향이다. 물론 앞으로 몇십 년 뒤에는 모두 순우리말 의학용어로 변경될 수도 있으나 급한 마음보다 조금씩 단계적으로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한 개정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⑫ 트라우마→감정상처...전문가 선정 바꿔야할 과학·의학 용어
2022.11.27
블루→코로나 우울 권재일 서울대 언어학과 명예교수는 '검체'나 '가검물' 등 어려운
한자어
를 바꾸길 제안했다. 가령 검체는 '검사대상', 가검물은 '검사물'로 변경하자는 제안이다. 의사환자는 의심환자로 바꾸자로 주장했다. 권 교수는 낯선 외국어에 대한 변화도 필요하다고 봤다. 'CPR' 대신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⑪ "엄선된 용어 필요한 건 아냐...친숙한 표현 고려해야"
2022.11.26
공통점이 있지만 ‘infecton’은 고름을 동반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심 교수는 “기존
한자어
로 정확한 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고름이 나오는 염증’과 ‘염증반응’으로 구분해 설명한다”며 “우리말은 표현이 더 자유롭기 때문에 전달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다만 환자가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⑩ 의학용어 절반이 한자…어린이·청소년에겐 '외국어'
2022.11.25
위해 의료현장에선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민 원장은 "전문 의료인이 사용하는
한자어
를 무리해서 바꾸는 것보다 어린 환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대화법을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작 슈뢰딩거필름 슈레딩거필름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⑨ 해외 사례 살펴보니...혼란 최소화·이해 극대화 노력 지속
2022.11.23
사례다. 이는 중국어가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발음을 차용하는 것보다 의미를 전달하는
한자어
를 선택해 번역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문화혁명으로 1960년대 중반부터 10여년간 학술용어 통일사업이 중단됐다가 1978년 전국과학기술용어심사위원회(CNCTST)를 구성하고 업무를 재개했다. 현재도 이미 ... ...
[공감! 과학용어] ③ 싱크홀→침하홀...명료하거나 단순하거나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명현현상’은 ‘부작용’이란 더 쉬운 표현으로 순화가 가능하다. 잘 사용되지 않는
한자어
의 경우 일반 대중이 단번에 의미를 알기는 어렵다는 이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정부에서도 사용하는 용어인 ‘감염재생산지수’의 경우 ‘전염지수’이란 ... ...
[공감! 과학용어] ②게놈·호우…일본어 번역투가 오해를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경우다. 뇌졸중은 '뇌가 졸지에 다친다'는 의미로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일본식
한자어
다. 2003년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위원회에서 이를 '뇌중풍'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미 굳어진 표현인데다 일본과 한국의 영향으로 중국과 대만에서도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이 시도는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⑦ 연령대 관계없이 "방역용어는 쉬워야"
2022.10.26
방역용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청소년 응답자들은 많았다. 순우리말로 ‘목밑샘’인
한자어
‘갑상선’의 순화 필요성에 대해 10대 응답자 56.3%는 “순화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40대(47.2%), 50대(48.1%), 60대 이상(49.1%) 등 보다 높은 응답률이다. 물론 고령층이 더 전문적인 영어를 사용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