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통
아픔
쓰라림
어려움
곤란
고난
고생
스페셜
"
괴로움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2020.01.04
될 거야!’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던 친구가 생각보다 녹록지 않은 연구와 업무 외
괴로움
들(인간관계, 이상한 문화 등)에 더 빨리, 크게 실망하고 누구보다 빨리 연구를 때려치우는 등의 경우를 종종 보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대와 열정이 큰 만큼 실망과 후회, 좌절 또한 큰 법이다. 실제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살로 이어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019.11.30
속시원하게 힘들다고 이야기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웃는 얼굴을 하는 등 자신의
괴로움
을 감추는 감정의 억압 또한 자살 시도와 큰 관련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에 처한 느낌 또는 실제 그런 상황, 새로운 위험을 계속해서 감지하고 몸을 사려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침팬지들의 경우 같은 상황에서 울고 있는 침팬지를 토닥토닥 위로해주는 등 타인의
괴로움
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도움 행동을 보인다고 한다. 문제의 ‘진짜’ 원인을 해결해서 타인의 고통을 줄이려는 것은 다소 고차원적인 반응이라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만 세 살 정도가 되면 조금씩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쁜 생각은 곱씹을수록 불어난다
2019.05.25
고민에 빠지게 만들고 우울 증상 또한 악화시킨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많은
괴로움
들이 다른 사람이 아닌 ‘내가’ 나를 괴롭히기 때문에 발생하곤 한다. 곱씹기가 대표적인 예다. 딱히 겪지 않아도 되는 불필요한 불행을 스스로 늘여가는 것이니 말이다. 곱씹기는 내가 나를 고문하는 가장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조금 멀리 떨어진 위험까지 신경 쓸 에너지는 없는 것일까? 다른 가능성으로는 타인의
괴로움
에 지나치게 공감하는 경우 공감적 과각성(empathic arousal)이 나타나 번아웃을 겪게 된다. 따라서 되려 공감을 ‘덜’ 하게 된다는 연구들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
2018.06.16
떠나는 건 여전히 많은 용기를 필요로 한다. 방황에도 많은 노력이 든다. 많은 고민과
괴로움
또한 그만큼 치열하게 자신의 싸움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렇게 생각해보니 힘든 가운데에서도 스스로를 조금 자랑스러워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때로 우리는 누구보다 자기 자신의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심리적 면역의 힘을 과소평가하는 반면 어떤 사건이 안겨줄
괴로움
을 과대평가한다고 해서 ‘면역 무시’라고 불리는 현상이다(Gilbert et al., 1998). 이런 마음의 면역력을 믿고 지금 당장은 괴로울지라도 시간이 지나면 어느새 조금씩 괜찮아져있을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단어 때문이다. 망년(忘年)은 다소 부정적인 표현으로 국어사전을 보면 ‘그해의 온갖
괴로움
을 잊음’이라고 풀이가 돼 있다. 즉 연말에 모여 술을 진탕 마시며 한 해의 시름을 잊자는 말이다. 송년 모임 또는 송년회 대신 망년회란 말이 널리 쓰이던 필자가 젊었을 때는 정말 망년회 자리가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불행할 것인지 물어보았다. 다수의 사람들이 상상도 못할 정도로 괴로울 것이고 그
괴로움
이 몇 달은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실제는 우리의 상상과 크게 달랐다. 면접에서 떨어져도, 응원하는 팀이 져도 자신이 상상했던 수준만큼 괴롭지 않았으며 보통 1~2 주일 정도가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상대방을 위하는 행동을 못 보이게 되는 반면 감정 조절을 잘 하는 사람들은 이
괴로움
을 빨리 떨쳐버리고 제일 중요한 ‘도움 행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Panfile 등의 연구자들은 3세 아이들을 방 안에 혼자 두고 어디선가 아기가 우는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후 보호자로 보이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