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비야"(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 행동의 진화] '멍 때리기', 진짜 정보를 취하는 과정 2020.10.0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멍때리기 2014년 10월 27일 서울시청에서 아주 이상한 대회가 열렸다. 멍때리기 대회(the Space-out Competition). 그냥 멍하니 앉아 있는 대회다. 규칙은 간단하다. 잠자거나 떠들거나 노래부르거나 먹거나… 이런 ‘목적 지향적 행동(goal-directed behaviors)’을 하지 않는 것이 전부다. ... ...
- KAIST, AI에 한국인 희노애락 가르칠 감정DB 구축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09.24
- 박주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사진) 연구팀은 한국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AI를 통해 입력한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감정을 추출하여 매일 감정을 기록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으리란 기대다. KAIST 제공 사람의 감정 ... ...
- '장마 이달 14일까지 간다' 북극서 밀려온 찬 공기로 역대 최장 장마 가능성동아사이언스 l2020.08.04
- 4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한강이 불어난 모습이다. 수일째 이어지는 폭우로 한강의 물빛이 황토색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제공 6월 말부터 시작된 장마가 이어지면서 홍수와 산사태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장마가 길면 이달 14일까지 이어 ... ...
- [표지로 읽는 과학]10년간 육상곤충 줄고 수상곤충 늘었다동아사이언스 l2020.04.26
-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4일 매미와 무당벌레, 나비, 개미 등 수 많은 곤충들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곤충은 절지동물 곤충강에 속하는 동물을 총칭하는 말로 흔히 벌레라고도 불린다. 최근 기후변화, 무분별한 개발 등의 영향으로 곤충의 종류와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연 ... ...
- [표지로 읽는 과학]3D 액정 속 카오스 첫 실시간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0.03.08
- 사이언스 제공 이글이글거리는 태양의 표면처럼 소용돌이치는 불꽃은 액정 안에서 물질들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다. 일정한 방향도 없고 규칙도 없이 혼란스럽게 움직일 뿐이다. 물리학계는 이런 이런 현상을 '카오스(혼돈)'라고 부른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6일 입체(3D) 액정에서 일어 ... ...
- [인류와 질병]판데믹 시나리오 '이벤트201'이 주는 교훈2020.02.22
- 넷플릭스 다큐시리즈 '판데믹'의 대표이미지. 출처 넷플릭스 공식사이트 2019년 10월 18일 미국 존스홉킨스 보건안전센터는 세계 경제 포럼,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함께 높은 수준의 판데믹(세계적 유행)상황에 대한 도상 훈련을 시행했다. 이벤트 201로 불리는 이 훈련은 코로나19 상황이 벌어 ... ...
- [AAAS연례회의]”두려움을 전하라. 그리고 행동을 촉구하라" 과학보도의 자세동아사이언스 l2020.02.15
- 로빈 나비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차총회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시애틀=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우리는 어떤 구조의 과학 뉴스가 감정을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야합니다. 결국 행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위염과 위궤양, 위암 등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헬리코박터 균. 파스퇴르연구소 제공 오랜 친구 가설에 의하면 인간은 다양한 미생물과 중생물(macrobe)이 공생적 관계를 맺고 만들어진 통생명체(holobionts)다. 이러한 공생적 관계가 5억 년을 넘도록 이루어졌고, 다양한 구성 성분을 조정하는 역할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정신질환 자가진단의 함정동아사이언스 l2019.11.20
-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조현병 등 정신질환을 유튜브에서 검색해보면 다양한 정보가 쏟아져 나온다. 이 중에는 병원에 가지 않고도 자가진단하거나 약 없이도 자가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유튜브 캡처 "정신과 약은 위험하다. 오래 먹으면 종일 졸리고 머리가 멍해진다. 증상이 완화하면 점차 ...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동아사이언스 l2019.11.03
- 사이언스 제공 쌍둥이처럼 똑 닮은 나비 두 마리가 커다란 나뭇잎 위에서 날개를 접거나 편 채 쉬고 있다. 놀랍게도 이 두 나비는 서로 다른 종이다. 왼쪽은 멜포메네길쭉나비이고, 오른쪽은 붉은점알락독나비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일자 표지로 헬리코니우스 속에 속하는 나비 두 종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