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4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과정에 옥시토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물론 옥시토신의 역할은 다양하다. 20
세기
초 분만을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발견된 뒤(옥시토신(oxytocin)은 '빠른 출산'이란 뜻의 그리스어다) 젖이 나오게 하는 역할이 밝혀졌다. 모성애와 부부애 같은 유대를 촉진하는 역할은 한참 뒤 밝혀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약초는 널리 이용되던 약이었다. 그 중에서 통증 해결을 위해 사용한 것은 기원전 3
세기
경부터 이용된 양귀비다. 양씨 성을 가진 당나라 현종의 귀한 부인이라는 뜻의 양귀비는 식물 양귀비를 '기쁨의 식물'이라 했다고 전해지는 등 중국에서 양귀비를 통증 해결을 위해 사용하곤 했다. 양귀비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미션을 성공하는 데 10년이 안 걸렸으니 과학자들이 작정하고 암에 덤비면 10년, 늦어도 20
세기
가 끝나기 전(임상시험에 시간이 꽤 걸리므로) 암을 정복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50년 넘게 지난 현재도 암은 여전히 무서운 질병으로 남아있다. 물론 조기 검진과 최신 영상기법의 도움을 받는 정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최소한 해썹(HACCP) 인증 제조 시설에서 만든 제품인지는 확인해야 한다는 말이다. 21
세기
도 4분의 1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천연은 몸에 좋고 합성은 해롭다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 같다. 고지혈증인 사람들을 위한 고순도 스타틴 의약품이 나와 있음에도(심지어 더 싸다) 여전히 알지 못하는 불순물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몸에 변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하곤 했다. 그랬으니 해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16
세기
에 직접 해부를 하여 갈레노스의 책에서 수많은 잘못된 점을 지적한 '해부학의 아버지' 베살리우스(Andreas Vesalius, 1514~1564)가 등장할 때까지 해부학 발전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지구 공전 궤도에 따라 정해져 있으므로), 광합성 산물이 식물의 세포호흡 요구량을 넘는
세기
의 빛이 있는 기간에 '광합성 주기'라는 이름을 붙였다. 앞으로 식물학 교재 개정판이 나온다면 이번 발견에 대한 설명과 함께 '광합성 주기'라는 용어가 들어가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이론으로 정리해서 통계의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한 것은 종교의 억압이 느슨해지던 16
세기
무렵부터였다. 밀라노의 수학자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확률 이론의 선구자였다. 카르다노가 훨씬 더 작은 규모의 '표본'에서 얻은 확률로부터 실제 게임의 결과를 짐작할 수 있다는 놀라운 '통계적' 사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말했다. 지구 평균 해수면은 지난 100년 동안 약 0.17m 상승했다. 해수면 상승 속도는 20
세기
후반 연간 약 1.7mm에서 21
세기
초에 연간 약 3.1mm로 가속화됐다. 현재는 매년 3.7mm씩 높아지고 있다. 연구팀은 "향후 수십 년 동안 기후변화 완화 노력을 통해 기온을 안정시키는 데 성공하더라도 과거 온난화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십여 년 전부터 치명적인 병이 퍼져 과수원이 초토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19
세기
말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감귤녹화병은 남중국과 동남아시아의 풍토병으로 자리잡았다. 2005년 미국 플로리다에 상륙해 2012년 캘리포니아까지 퍼지며 사실상 단일 작물로 재배하는 오렌지 농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Hippocrates, BC 460-377?)는 상처에서 고름을 제거해야 빨리 나을 수 있다고 주장했고 2
세기
에 갈레노스(Claudia Galenos, Galen, 129?~200?)도 상처 치유를 위해 나름대로의 처리법을 제시했다. 19
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9139)에 소개한 것처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