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맥락
줄거리
혈맥
내막
내실
스페셜
"
속사정
"(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오늘날 재배 벼가 탄생하기 까지는 수천 년에 걸친 야생 벼 작물화 과정이 있었다. 앞으로는 게놈편집기술이 야생 벼를 짧은 시간안에 작물로 변신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초의 농경사회 이후 등장한 새로운 농기구는 모두 목적이 똑같았다. 사람의 힘을 덜 들이고 땅에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2021.01.25
인체는 감염병 회복 후 ‘면역학적 기억’을 통해 향후 병원체의 침입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을 얻는다. 꼭 병에 걸리지 않더라도 백신을 이용하면 면역기능을 학습시킬 수 있다. 백신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해당 병원체에 대한 감염병을 일으키지 않아야한다. 면역 ‘선행학 ... ...
[이덕환의 과학세상]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방역 정책
2020.12.09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28일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의료기관인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해 의료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청와대 제공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3차 대유행’이 심상치 않다. 하루 감염자가 900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방역 당국의 전망이 ... ...
"아직 협상 중인데…" 백신 확보량 확답 못하는
속사정
밝힌 정 총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1.29
"코로나19 백신 3000만명 확보 목표 분명...협상 중 사안 밝히기 곤란" "이르면 금주 중 늦어도 내주 공개할 것" 정세균(왼쪽에서 두번째) 국무총리가 29일 코로나19 극복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브리핑 캡쳐 미국과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금도 진행형인 과학기술계의 비정규직 차별
2020.11.19
며칠전 페이스북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의 사업별 신청자격을 우연히 보게 됐고, 즉시 분노를 금할 수 없었다. 젊은 과학자 1000명에게 5년간 인건비와 소정의 연구비를 지원한다는 이 사업의 기저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나서도 안정적인 연구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⑤플랫폼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
2020.10.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노히리아 학장은 2014년 “우리 교수들이 결정해야 할 것은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같은 세계 최고 대학의 ‘플랫폼’에 있을 것인지, 개별적인 브랜드를 세울 것인지에 대한 것”이라며 “크리스텐슨 교수가 하버드경영대학원에 있기 때문에 크리스텐슨 ... ...
[인간 행동의 진화] 진정한 사랑?...마음 속에서 스스로 생겨나는 것
2020.09.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랑처럼 다양한 쓰임이 있는 개념도 없다. 애국심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고 애향심은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이며 애교심은 학교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시시한(?) 사랑 말고 좀 더 직접적인 ‘좁은 의미의’ 사랑을 이야기해보자. 바로 연애(戀愛)다. 그리 ... ...
코로나19 가짜 뉴스에 맞선 데이터 과학
2020.07.29
'루머를 앞선 팩트' 캠페인 4달, 국가별 가짜뉴스 확산과 취약성 분석 각국에 퍼진 황당한 가짜뉴스들. 불꽃놀이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없앤다거나, 콜라로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가짜뉴스들은 특정 문화권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하루에 계란을 9개 섭취하면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1986년에 관측된 핼리혜성. 위키피디아 제공 76년에 한 번씩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핼리혜성은 인간에겐 경이로운 존재이다. 하필이면 그 주기가 보통 사람의 수명과 얼추 비슷해서 일생에 딱 한 번 볼 수 있다는 우연의 일치가 참 매력적이다. 핼리혜성에 에드먼드 핼리(1656~1742)의 이름이 붙은 것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을 완전히 죽여 없애버리겠다는 항균‧살균의 광풍이 되살아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의 아픔은 기억에서 완전히 지워져 버린 모양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를 핑계로 바이러스를 말끔하게 제거해준다는 제품이 지천으로 쏟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