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월간"(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최근 도구, 즉 석기의 사용이 인류진화의 원동력이었음을 보여주는 글이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4월호에 실렸다. 2007년 랭엄 교수의 논문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아 요리가 인류진화의 원동력이라며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직립인간)에게 ‘요리하는 인간’, 즉 호모 코쿠엔스 ...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2016.02.26
- 최대 5전 전승”을 자신했다. 이 9단이 장담한 대로 알파고는 패배하고 마는 것일까. 월간 ‘과학동아’가 29일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를 통해 단독 공개할 인공지능 전문가 3명의 대국 전망을 미리 공개한다. ● 딥러닝의 방대한 학습량, 알파고에게 독(毒)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그들이다. 지난 11일 기자회견 자리에는 이 가운데 바이스와 손 교수가 보였다. 미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1992년 3월호에 에 실린 라이고 프로젝트 주역들. 위 사진 팔짱 낀 사람이 칼텍의 로슈스 보그트 교수이고 그 오른쪽이 로널드 드레버 교수다. 아래 왼쪽 사진 앉아있는 사람이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벅차 백신접종까지 챙길 여력이 없다고 한다. ● 1998년 엉터리 논문이 발단 미국의 월간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5월호에는 특이한 사설이 한 편 실렸다. 미국의 홍역백신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자녀의 접종을 망설이는 부모들을 설득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즉 홍역이 창궐하지 ...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2014.12.15
- 평가하고 있어 바로 주문했다. 저자 아담 로저스(Adam Rogers)는 미국의 유명 과학기술 월간지인 ‘와이어드(Wired)’의 편집자이자 ‘뉴스위크’ 같은 곳에 기고하는 과학저술가로 위스키 한 잔을 놓고 바에 앉아있는 저자 사진을 보니 한 눈에 술꾼임을 알 수 있다. 저자 역시도 책에서 인정하며 ...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2014.11.24
- 시간을 대폭 줄인 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각종 질환과 비만의 숨은 원인 미국의 월간과학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1월호에는 ‘의자는 살인무기(Killer Chairs)’라는 제목의 칼럼이 실렸다. 기고가는 메이요클리닉의 내분비학자 제임스 레바인(James Levine)으로, 알고 보니 의자에 오래 ...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KISTI l2014.09.30
- 등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다. 닭도 공감할 수 있다는 얘기다. 2014년 2월, 미국의 유명 과학 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는 ‘똑똑한 새’라는 글이 실렸다. 똑똑한 새는 다름 아닌 닭. 닭의 울음소리는 2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울음소리로 서로 소통할 수 있다고 한다. 재미있게도 주위 ... ...
- 글루텐을 위한 변명2014.07.07
- 마찬가지로 10%라는 건 이상하지 않은가. ●글루텐 프리의 함정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2월호에는 학술지 ‘네이처 의학’의 뉴스 담당 편집자인 록산느 캄시의 흥미로운 칼럼이 실렸다. 글루텐이 사람들을 아프게 하는 유일한 밀 단백질이 아니라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3.24
- 여인의 이야기가 위에서부터 줄줄이 나오는 게 아닌가. 똑똑한 것! 이 가운데 2009년 월간지 ‘와이어드(Wired)’에 실린 글을 프린트해 읽어봤는데, 이 여인이 2008년 ‘The Woman Who Can't Forget’이라는 자기 이야기를 담은 책을 내기도 했단다. 교보문고 사이트에서 이 책 제목으로 검색을 해봤다. ... ...
- 새와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4.02.11
- 오늘날 전형적인 닭 사육 환경이다. - 강석기 제공 필자는 25년째 미국의 유수한 과학월간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을 구독하고 있는데, 2월호에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인지과학자인 캐럴린 스미스와 과학저술가인 사라 질린스키가 함께 쓴 글로 ‘Brainy Bird(똑똑한 새)’라는 제목이다. 그런데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