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스페셜
"
창조
"(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고통받고 있으며 우리 과학도 그렇습니다. 학문적 연구는 모든 장엄한 세부 사항에서
창조
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관찰 할 수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잊어 버린 것 같습니다. 과학은 항상 내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지만 (학계 안에서) 우리의 관계는 건강한 관계가 아니며, 이제 ... ...
과학기술·ICT 분리 '과기혁신전략부' 신설 기대 속 MB 실패정책 교육 통합 '솔솔'
동아사이언스
l
2022.03.31
상황이다. 교육부 권한 축소가 예상되는 이유다.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미래
창조
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합쳐졌던 과학기술 분야와 ICT 분야는 새 정부에서 다시 쪼개질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자가 후보 공약으로 내세웠던 디지털미디어혁신부가 신설되면 ICT 부문을 맡고 있는 현재 ... ...
'교과부냐 과교부냐' 윤석열 정부 인수위 출범 후 논란인 과기정통부 조직 향방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3.18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이렇게 될 경우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미래
창조
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합쳐졌던 ICT 분야와 과기 분야가 새 정부에선 다시 쪼개질 가능성이 크다. 당선인이 후보 시절 공약으로 언급한 미디어와 콘텐츠 산업 진흥 정책 등을 총괄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않아서 산업적으로 쓸모가 없었던 갈탄으로 만든 19공탄은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창조
적인 연료였다. 전통적인 온돌과도 절묘하게 어울리는 장점도 있었다. 그렇다고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석탄을 수송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도 만들어야 했고, 연탄을 안정적으로 생산해서 공급하는 ... ...
"구체성과 철학 부족한 인재정책, 과학 근거한 기후·에너지 정책 아쉽다"
2022.03.09
12위에 머문다"며 "연구개발 투자는 계속됐고 괜찮았지만 최근 5년새 과학기술 정책은
창조
경제를 부르짖던 이전 정부의 정책을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추진하면서 포커스를 못잡았다"고 지적했다. 또 "현재 NIS는 일본이 연구개발을 잘 하고 잘 나가니까 어떻게 연구하는지 알아보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수소가 많은 성간물질 속에서 관측할 수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대표적 사진인 '
창조
의 기둥'. 지구에서 약 7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성간물질과 가스를 찍었다. NASA 제공 ※참고자료 -Dirac, Paul A. M. (1926). "On the Theory of Quantum Mechanic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12 (762): 661–77. 디랙은 이 ... ...
[르포]사막 위에 세워진 두바이 또 하나의 랜드마크 '미래박물관'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2.02.23
“미래는 상상하고 설계하고 실행하는 자의 몫이다. 미래는 기다림의 대상이 아닌,
창조
의 대상이다”, “혁신은 지적 사치가 아니다. 국가와 민족의 부흥을 이끌기 위한 핵심 비결이다”라는 세 가지 미래비전을 제시했다. 미래박물관 내부에는 1000여 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홀과 34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0년 만에 되살아난 ‘교차지원’의 망령
2022.02.16
신세를 한탄할 때 쓰인다. TV 방송화면 캡쳐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합리성과 예술적
창조
력을 바탕으로 하는 융합 교육도 객관식 짝퉁 수능 앞에서는 힘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 모든 문제에는 명백하게 정해진 답이 있어야 한다는 억지 철학을 강요하는 객관식 수능의 문제풀이 훈련으로는 ... ...
북, '광명성4호' 발사 6주년 "세상놀랄 신화
창조
될것"
연합뉴스
l
2022.02.08
5개년 계획의 첫해 목표를 달성한 데 이어 두 번째 해인 올해에도 혁신적 성과들을
창조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에도 국제사회는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내세워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을 하고 있다고 보고있다. 북한이 지난 2016년 2월 7일 서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장거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2022.02.02
했던 ‘과학’을 믿을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진단과
창조
적인 노력을 통한 ‘적응’의 노력이 훨씬 더 . 겉으로만 그럴싸한 구호로 채워진 정치적 선동은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