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증명
보증
인증
증언
뒷받침
스페셜
"
확증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루머와 음모론이 건강을 해친다
2020.03.28
프렌치 교수에 따르면 인간의 다음과 같은 특성들도 음모론을 악화시킨다. ①
확증
편향 : 익숙하고 자기 입장에 유리한 정보들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이다. 예컨대 평소 특정 인물이나 집단에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고 있었다면 나쁜 일이 생겼을 때 우선 그 쪽을 먼저 의심해보고 여기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감염병 사태는 표심을 바꾼다
2020.03.21
내집단을 옹호하는 내집단 편향과 익숙한 것,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확증
편향,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동조 현상이 강화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다른 인종이나 국적의 사람들, 약자에 대한 배척이 강화되기도 한다. 소수의 의견은 묵살되는 현상도 나타나며 목소리가 큰 사람이 ... ...
"전자담배 낮은 유해성, 소비자에게 알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백 국장은 “지금 궐련형 전자담배가 덜 해롭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왔지만 아직
확증
적인 증거는 아니다”며 “(최 교수님) 말씀대로 장기적인 유해성에 대해서는 과학적 증거도 안나왔다”고 말했다. 백 국장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를 근거로 들었다. 그는 “미국 CDC 발표에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
2017.11.04
고정관념을 쉽게 형성하곤 한다. 이를 ‘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한다. 나 역시
확증
편향에 빠져있었던 것이다. 최근 사회 및 성격심리 과학지(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위험 추구 성향(risk-taking behaviors)’에서도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더 위험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탄화수소와 비슷하기 때문에 분해하는 효소 시스템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확증
을 위해서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같은 좀 더 명쾌한 실험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다. 문득 2010년 ‘비소박테리아’ 논문 해프닝이 떠오른다. 당시 미항공우주국(NASA)은 정말 놀라운 연구결과를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보고됐다. 이 가운데 세 사람은 동일한 유형의 콜레라균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고 9월 3일
확증
된 네 번째 환자는 유전자지문 분석결과 다른 유형으로 밝혀졌다. 상하수도 시설이 열악한 지역에서나 발생하는 줄 알았던 콜레라가 우리나라에서 보고됐으니 좀 뜻밖이긴 하다. 그러고 보니 필자가 어릴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 중간자는 (q q), (q q q q) 같은 쿼크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 겔만의 예측 50년 만에
확증
돼 지난 7월 14일 CERN의 LHCb실험그룹은 쿼크 다섯 개로 이뤄진 입자인 펜타쿼크(pentaquark)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겔만의 논문이 나온 뒤 무려 51년 만에 그 실체가 드러난 것이다. 원래 LHCb실험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Letters)’에 실었다. 그리고 1979년 마침내 이 입자가 3세대 물질의 한 구성원인 타우(tau)로
확증
된다. 그 뒤 타우뉴트리노와 탑쿼크, 바텀쿼크가 발견되면서 3세대 구성원이 완성됐다. 1970년대 타우렙톤 발견 실험을 이끈 마틴 펄(Martin Perl)은 1927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폴란드에서 이민 온 유태인의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지난 주말 필자는 무려 2시간 40분 동안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며 지난해 이맘 때 본 영화 ‘그래비티’가 정말 대단한 작품이었다는 감상에 잠 ... 수명이 매우 짧으므로). 모쪼록 추가관측을 통해 W49nr1의 질량이 추정치의 상한선으로
확증
돼 ‘가장 무거운 별’로 공인되기를 기대한다.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수상했다. 김 교수는 이들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그래핀의 존재를 발견했으며 실험으로
확증
한 것은 이들과 같은 시기지만 아쉽게도 노벨상은 받지 못했다. 수상자인 가임 경은 김 교수의 업적을 인정하며 "노벨상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실망하지 않고 연구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