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후손"(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2021.04.27
- 한다. 이르면 210만 년 원시적 뇌 구조를 지닌 인류가 1차로 서아시아로 진출했다. 이들의 후손이 바로 드마니시인이다. 그리고 약 150만 년 전 현대인에 가까운 뇌 구조를 지닌 인류가 2차로 유라시아로 진출해 동쪽으로는 한반도까지 이르렀다. ○ 뇌 구조 변화와 석기 기술 발전 시기 겹쳐 18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2021.03.16
- 즉 42만 년 전 크레스토브카 계열과 털매머드 사이의 잡종으로 태어난 컬럼비아매머드의 후손이 약 10만 년 전 북미로 건너온 털매머드와 또 만나 피가 섞인 것이다. 아마도 30만여 년 사이 변화로 컬럼비아매머드와 털매머드 사이에서 생식력이 있는 개체가 태어날 수 있게 된 것 같다. 100만 년 ... ...
-
- [KAIST 50주년 심포지엄]"끊임없이 묻고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버려라"동아사이언스 l2021.02.16
- 나서서 연구해야 하는 분야”라고 덧붙였다. 로젠바움 총장은 “100년후 나 1000년 후 우리 후손들이 중요시할 만 연구를 지금 대학에서 해야한다”며 “용기와 야망, 흔들리지 않는 학문적 가치에 대한 의지가 반드시 필요하며, 앞으로 KAIST 이런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 ...
-
- 문 대통령 "코로나19 백신 전 국민 무료 접종할 것"2021.01.11
- 남북은 손잡고 함께 증명해야 합니다. 전쟁과 핵무기 없는 평화의 한반도야말로 민족과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의무입니다. 정부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에 발맞추어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한편 멈춰있는 북미대화와 남북대화에서 대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마지막 노력을 ... ...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2020.12.20
- 작. ‘존재를 위한 투쟁’, 늑대 싸움. 위키피디아 제공 개는 모두 아시아 회색 늑대의 후손이다. 유전자의 99.5%가 같다. 개는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지만, 사실 늑대랑 더 가깝다. 그런데 개는 어떻게 진화했을까? 그리고 개와 늑대는 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것일까? 개는 늑대와 어떤 점이 다를까 ... ...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2020.11.29
- 남기지 못했을 것이다. 맹렬하게 자신의 땅을 쟁취하고, 외부인의 침입을 막던 조상의 후손이 우리다. 등기소가 불타고 집문서가 사라지면, 사람들은 몽둥이를 들고 땅을 지킬 것이다. 동물의 세계에서 텃세 다툼은 종종 죽음에 이르는 치열한 싸움이 되곤 하는데, 아마 인류의 조상도 크게 다르지 ...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2020.11.26
- 한다.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이 올바른 진화이론으로 살아남지 못한 이유는 획득형질이 후손으로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에 유전이론이 전혀 없지는 않았다. 사실 ‘유전’ 하면 지금의 우리에게도 딱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스마트폰 앱 중에 남자와 여자 사진을 입력하면 이들의 아기가 ... ...
-
- [표지로 읽는 과학] 동물 연구 판도 바꾸는 게놈 분석동아사이언스 l2020.11.14
- 변화해 왔는지 확인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노래를 불러 의사소통을 하고 그 노래를 후손에게 학습시키는 것으로 유명한 명금류의 경우 식도의 상피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사라져 있는데, 그 덕분에 식도의 유연성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높낮이를 지니는 노랫소리를 만들 수 있게 ...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2020.11.12
-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리처드 파인만은 만약 모든 과학지식이 파괴돼서 후손에게 딱 하나의 문장을 전해주려 한다면 가장 적은 단어로 가장 많은 정보를 담은 문장은 무엇일까라고 자문하며, 그 답은 아마도 원자론일 것이라 자답한다. 그래서 파인만을 따라 20세기 과학의 핵심은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2020.11.03
- 이렇게 생겨난 게 MWS이고 그 결과 이들은 3색형 색각을 회복해 총천연색을 보게 됐다. 그 후손이 바로 우리다. 4색형 색각으로 울트라총천연색을 보는 벌새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주면 이렇게 반응하지 않을까. “애썼다.” 우리 눈에는 2색형 색각인 개가 보는 색의 세계(왼쪽)가 꽤 빈약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