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
과학동아
l
200207
모양
을 만들 수 있다. 정오각형
모양
의 폭이 일정한 도형으로 드릴을 만들면 정육각형
모양
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폭이 일정한 도형은 사각이나 오각 구멍을 뚫는 드릴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다. 로이렉스 삼각형은 영사기에 쓰이는데, 여러 장이 연속으로 붙어있는 필름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07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정교한 판축의 경우, 그 땅을 다지는데 사용한 막대
모양
의 기구인 ‘공이’의 지름이 겨우 2-3cm이었으니 얼마나 많은 인력이 동원돼 오랜 시간동안 다져올렸는지 짐작할 수 있다.판축을 보강하기 위해 사방으로 돌을 쌓아 마감한 것이 석축기단이다. 석축기단은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수nm의 깊이만을 파낼 수 있어서 2차원 평면에 가까운 단순한
모양
밖에 만들 수 없다. 최근에는 높이가 다르거나 폭이 서로 다른 3차원 나노입체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펨토초(${10}^{-15}$초) 레이저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펨토초 레이저는 지속시간단위가 ${10}^{-15}$초로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07
중화시키는 염기인 암모니아를 만드는 효소인데, 위산과 접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공
모양
으로 함께 모여 있는 것이다. 결국 이 우레아제들의 구조를 뒤틀어 재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위산에 녹을수밖에 없다. 위암의 원인균을 무찌를 획기적인 단서를 찾아낸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07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라는 다당류의 혼합물이다. 아밀로오스는 포도당이 사슬
모양
으로 연결된 구조를, 아밀로펙틴은 포도당이 나뭇가지처럼 결합된 형태를 갖고 있다. 이처럼 사슬과 가지로 이뤄진 녹말 성분이 규칙적으로 배열한 상태를 베타녹말이라고 한다.가열하지 않은 천연 상태의 ... ...
목성 닮은 외계 행성 잇따라 발견
과학동아
l
200207
마시 박사와 워싱턴 카네기연구소의 폴 버틀러 박사는 질량, 항성(태양)과의 거리, 궤도
모양
, 공전주기가 목성과 흡사한 행성을 발견했다고 지난 6월 13일 밝혔다.이들이 발견한 행성은 지구에서 41광년 떨어진 ‘게자리 55번 별’(55 Cnc)이 거느린 행성 중 하나로 ‘55 Cnc d’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55 Cnc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금성을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할 필요가 있다.날이 갈수록 천체망원경에서 크기와
모양
이 달라지는 금성의 모습은 끈기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흥밋거리가 될 것이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07
새로운 명령은 시스템 내에 살아남아 또다른 로봇으로 전파된다. 비록 케페라의 외적인
모양
은 인간과 거리가 있지만, 인간 두뇌의 정보처리 기능을 이용해 지적인 행동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진화 알고리즘에 강화학습을 도입하면 시스템은 한층 더 ‘똑똑’해진다. 제어장치 내에 로봇의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07
마치 창문을 가로로 배열해 놓은 듯한 독특한 모습 때문에 유명하다. 창상벽공의 세포
모양
을 가진 나무는 세계적으로 하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필자는 무령왕의 관재가 금송임을 금방 알아챌 수 있었다.고야산에서 자라는 큰 나무금송은 겉씨식물 바늘잎무리(침엽수)에 속하는 늘 푸른 나무다.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07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까. 혈관 속을 움직이는 초소형 기기를 생각해보자. 붉은색 원판
모양
의 적혈구는 크기가 40μm(1미크론=${10}^{-6}$m)다. 따라서 혈액 속을 이동할 수 있는 초소형 기기는 커봐야 적혈구만 해야 할 것이다. 만약 이 기기가 혈액을 떠다니는 세포나 물질을 잡을 수 있으려면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