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마친 사람들도 전공 분야가 아니면 학사 때 배웠던 내용이 전부거든요. 그래서 학사과정 때 기초적인 공부를 열심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궁금한 게 있으면 언제든 선배들이나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건 학생만이 가진 특권이니까요.“ 해설지보다 연습장을 가까이”문제를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PTSD)를 치료하려면 일단 환자가 당시 기억을 생생히 더듬어 내야 한다. 그런데 그 과정 이 고통스러워 환자는 의식적으로 기억회상을 거부 한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정신과 전문의 스킵 리 초 박사는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참전용사를 위한 가상체험 치료시스템을 개발했다. 환자는 중동지역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앞서, 초음파를 쏜 뒤 반사파를 감지해 최대 반지름 150m 주변의 해저 지도를 그리는 과정이다. 물속에서 10m 이상 나가지 못하는 빛을 대신해 크랩스터는 소리(음파)로 앞을 본다. 백 연구원이 이어 말했다. "6° 훌라후프 하겠습니다."'훌라후프'는 수중음파탐지기가 360° 회전하면서 초음파를 쏠 때,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는데 간단히 말하면 어떤 물체의 중력과 그 물체를 둘 러싼 전자기력을 똑같게 한 뒤 이 과정에서 플랑크 상 수를 이용해 1 kg이 정확히 얼마인지 정의한다. 이해하 기는 어려워도 기술적으로는 좀 더 쉬워서 캐나다, 프 랑스 등 표준 선진국들이 각각 와트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제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 두 번의 교육과정 개편에 교사로 직접 참여한 최수일 수학교육연구소 연구소장의 이야기를 새겨봄직하다. “가장 중요한 건 어떻게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것인가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을 배울지보다 어떻게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한다. 눈에 보이는 화학반응계산화학 SW로 화학반응을 시뮬레이션하면, 반응 과정과 원리를 찬찬히 뜯어 볼 수 있다. 마치 ‘슬로우 비디오’를 보는 것과 같다. 화학반응 도중에는 수많은 중간물질이 생긴다. 어떤 원리로 반응이 일어나는지는 이 중간물질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매일 보는 얼굴일 텐데, 뭐가 그리 좋은지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조별로 나와 풀이 과정을 설명했다. 가만히 지켜보던 선생님이 말문을 열었다.“자, 이 조 풀이에 대해서 할 말 있는 사람?”여기저기서 손이 번쩍 번쩍 올라왔다. 학생들이 서로 놓친 부분을 하나 둘씩 지적했다. 답만 맞추고 ... ...
- [knowledge] 고난은 우리를 성장시키지 않는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돕고 위로해주자. 어떻게 ‘함께’ 이겨나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혼자 이 과정을 거치면 설령 결과가 좋았더라도 속으로는 억울함과 피해의식 같은 어둠이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애초에 사람이 ‘혼자’ 온전히 이겨낼 수 있는 고난이란 없다. 따라서 고난 자체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구하는 분야가 바이오메디컬이다 보니 의학분야와의 협업은 필수예요. 저도 박사과정 때 의학과 관련된 지식을 배우기는 했지만, 아주 깊은 공부를 하진 못했죠. 인공피부를 예로 들자면, 저희는 전자소자를 개발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임상실험을 진행하기는 어렵죠. 우리 연구실에도 다양한 ... ...
- [과학뉴스]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동안 뇌를 지배한다. 특히 쾌락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하게도 하는데 최근 그 과정이 밝혀졌다. 미국 솔크대 분자신경생물학과 살라사니 스리칸스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쪽에는 먹이를 많이, 다른 쪽에는 먹이를 조금 주는 실험을 진행했다. 결과는 먹이를 적게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