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1 바다에서 우주 탐사 연습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물 무서운데…. 우주비행사가 도대체 깊은 바닷속에서 훈련을 하는 이유가 뭐야? 지난 6월 13일, 우주비행사들이 하늘이 아닌 바닷속으로 뛰어들었어요. 대서양 수심 19m에 위치한 ‘물병자리 기지’에서 10일 동안 지내며 임무를 수행하고, 신체 변화를 측정했지요. 2001년부터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 ...
- 게임이용장애란 질병이 생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직업 활동이므로 게임이용장애라고 볼 수 없습니다. 휴일에 몰아서 게임을 하다가 월요일에 학교를 가는 학생도 게임이용장애가 아닙니다.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 WHO의 결정에 모두가 동의하는 건 아닙니다. 5월 29일, 국내에서는 게임학계와 게임산업계를 중심으로 ‘게임질병코드 도입 반대를 ... ...
- 도전2 지상에서 우주 탐사 따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랍니다. 우주 탐사는 외로운 싸움지구에서 화성까지는 장장 8개월이 걸리고, 화성에서도 장기 체류하며 임무를 수행하지요. 우주비행사 몇 명과 비좁은 공간에서 이처럼 긴 시간을 견디는 일은 치명적인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어요. NASA는 2013년부터 하와이 마우나로아 ... ...
- [현장취재] 스파이더맨들 모여라! 거미 특별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무서워하는 친구들도 있지만, 거미는 사실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동물이에요. 지난 8월 25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운길산 자락에서 거미 사랑에 푹 빠진 연구자들을 만났습니다. 세 명의 ‘스파이더맨’ 김대희, 김태우, 이형민 연구원과 함께 한 거미 특별탐사 ...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 계면활성제로 그린 그림초록색 배경에 귀여운 파란 펭귄이 보이나요? 이 그림은 올해 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잉크나 염료 대신 계면활성제와 기름을 섞어 만든 특별한 물방울과 빛으로 그린 그림이에요. 지난해 연구팀은 비누와 세제에 쓰이는 ...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를 동시에 하는 엑소슈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근육과 관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지요.그런데 8월 15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코너 월시 교수와 중앙대학교 이기욱 교수팀은 걷기와 뛰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엑소슈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두 동작을 동시에 돕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지요. 엑소슈트의 허벅지와 배에 부착된 ... ...
- [Go!Go!고고학자] 고대인도 철새처럼 이사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보거든요. 그래서 여러 증거를 통해 고대인들의 이동을 추적하려 하지요. 예를 들어, 7월 15일 자에서 소개한 우리나라 서해안의 패총에서 발견된 굴 껍데기는,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적어도 가을부터 봄까지는 바닷가나 그 가까운 곳에서 살았다는 것을 의미해요. 굴은 살이 오르는 겨울이 제철인 ... ...
- [과학뉴스] 손바닥보다 작은 원숭이 두개골, 진화의 비밀을 풀 열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뇌는 줄곧 커지도록 진화했다고 알려졌어요. 하지만 지난 8월 22일, 미국자연사박물관 니시쥔 박사팀이 이와 다른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칠레 안데스산맥에서 발견한 2000만 년 전의 멸종 원숭이 ‘칠레세부스 카라스코엔시스(Chilecebus carrascoensis)’의 화석을 고해상도 X선과 ... ...
- [만화뉴스] 타임캡슐 알을 낳는 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같은 무서운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그런데 지난 8월 21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킴 메들리 박사팀은 이 모기들이 본래의 영토보다 더 추운 환경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늦게 부화하는 타임캡슐 알을 낳도록 진화한 것을 발견했어요. 이는 모기들이 북쪽으로 생활 영역을 ... ...
- [과학뉴스]나비의 날개처럼 유연한 인공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로봇은 작동 수명이 짧고 안정성이 낮아 상용화하기엔 어려움이 있었지요.이에 지난 8월 22일, 카이스트 오일권 교수팀은 이온성 인공 근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세대 나노물질인 ‘맥신’을 전극에 적용해 부드럽게 움직이는 소프트로봇용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