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가천대 길병원은 IBM사의 인공지능(AI) ‘왓슨 포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 이하 왓슨)’를
이용
해 처음으로 암환자를 진료했다고 밝혔다. 그로부터 약 두 달이 지난 지금, 왓슨의 진료를 받은 암환자는 길병원에서만 85명으로 늘었다. 서울의 한 유명 병원에서는 암 환자가 의사의 판단과 왓슨의 치료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파동을 똑같이 만들어 내는 기술이기 때문에 피로감이 생기지 않는다.홀로그래피 원리를
이용
해 렌즈와 같은 광소자에 기록했다가 SLM프로젝터로 재생하면 3D 디스플레이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이는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의 장점과 디지털 동영상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병호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사용하고 있다. 논문으로 출판된 연구 결과는 다시 건설재료를 개발하는 데
이용
한다.이런 융합이 가능한 이유는 오 교수의 독특한 이력 덕분이다. 그는 무기재료공학부에서 학사를, 건축구조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전공은 이 두 전공을 접목한 건설 구조재료다. 오 교수는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Sergiu Klainerman)처럼 되고 싶어요. 제가 무척 존경하거든요. 교수님은 1980년대에 벡터장을
이용
해 비선형 쌍곡 방정식을 이해하는 연구를 하셨는데, 교수님의 연구가 아름다운 이유는 그 전까지는 너무 어려웠던 문제가 그 연구 성과로 인해 쉬운 문제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 ...
실험과 체험 중심의 독일 수학박물관 마테마티쿰을 가다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시대입니다.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위해서라도 다양한 수학 콘텐츠를
이용
해 공부해야 합니다. 친구들과 소통하고 체득하면서 말이지요. 이런 관점에서 마테마티쿰의 설립과 운영 철학이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우리나라에도 학생이 수학을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동기를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것이지요. 그리고 사물의 위치와 특성을 기억해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몰핑 기법을
이용
해 뮤직비디오를 한번에 촬영한 것처럼 만들었습니다.매번 기발한 뮤직비디오를 만들어내는 오케이 고의 다음 뮤직비디오, 아니 앨범이 기대됩니다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각각 다 다른 장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을
이용
할 경우 모두 같은 장부를 공유하기 때문에 당일 청산이 가능하다. 실제 호주증권거래소(ASX)는 당일 청산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실제 거래에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같은 광소자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런 그래핀의 특성을 역으로
이용
했다. 두 나노레이저를 가깝게 위치시키고 한 쪽 레이저에만 그래핀을 덮어 빛이 손실되는 부분과 발생하는 부분을 따로 분리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색이었던 빛이 한 가지 색으로 바뀌는 현상을 최초로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로봇처럼 높이가 4m에 달하지만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합금과 탄소소재를
이용
해서 무게는 1.6t에 불과하다. 한국미래기술이 혜성처럼 등장해 거대 2족 보행 로봇을 만들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가 있다. 휴보를 개발한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출신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분자를
이용
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