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기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다시피 양자 결맞음이 모든 에너지 경로에서 단번에
길
을 찾게 하는 높은 효율의 열쇠니까요. 나노기술이 지향하는 방식으로, 우리는 알맞은 재료를 써서 이 방식을 모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언 매큐언, ‘Solar’ 오늘날 영어권 최고의 소설가 중 한 명으로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공대에서 로켓연료를 연구하다 1950년대 중반 미시건 암재단으로 자리를 옮겨 암연구자의
길
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화학자였기에 떠올릴 수 있었던 기발한 아이디어로 항암제 분자를 설계했다. 암조직에서는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에 착안해 DNA복제를 방해하는 분자를 만들기로 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가설’의 기본개념을 생각해낸 것이다. ‘RNA 세계(RNA world)’는 1986년 하버드대의 월터
길
버트가 토머스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하면서 만든 말이다. 메신저RNA 서열을 해독해 아미노산 사슬을 만드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연구하던 우즈는 리보솜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5S ... ...
과학은
길
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해결책은 국가가 나서 강력하게 통제하거나 공유재를 사유화하는
길
밖에 없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미국 인디애나대의 정치과학자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의 생각은 달랐다. 세계 각지의 제도를 연구하던 오스트롬은 많은 곳에서 공유재의 비극이 일어나는 게 사실이지만 ... ...
과학은
길
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돼지 복제에 성공했다. 캠벨은 최초의 포유류 복제 성공이라는 영예와 함께 인간 복제의
길
을 열었다는 비난도 받았는데, 그 자신은 동물복제를 옹호하면서도 인간복제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15. 루이즈 존슨 (1940. 9.26 ~ 2012. 9.25) 구조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결정학자 20세기 후반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초미세전극을 개발해 낮은 전해질 농도에서 일어나는 전극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길
을 열기도 했다. 탁월한 전기화학자였던 플라이슈만은 1985년 영국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는 영광을 누렸다. 그러나 그는 여기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꿈꿔왔던 실험을 하기 위해 제자 스탠리 폰즈가 있는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뿌리를 찾아놓은 상태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은 아직 갈
길
이 멀다. 인류는 병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대표적인 벼과 식물의 개통수에 밀의 작물화 역사를 재구성해 봤다. 오늘날 밀(밀빵)이 꽤 복잡한 과정을 통해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