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들어진 인공섬 근처 환경을 꾸준히 관찰하면서 생태계 변화를 살피고 있지요. 인공섬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해양 환경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사람들은 어떤 인공섬을 만드는지 살펴보길 잘했어! 내 섬에는 이 모든 것을 다 섞어서 만들 테야!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떤 모양으로 어느 장소에 내리칠지 안다면 피해를 훨씬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기술로는 대기 중 온도와 습도, 구름의 상태 등으로 번개가 어디에서 언제 칠지 예측할 수 있다. 최근 미국 과학자들은 좀 더 정확한 방법으로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했다. 데이빗 롬프 버클리캘리포니아대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센서 덕분에 아리랑 3A호는 한밤중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위성을 완전하게 만들 수 있게 됐지요.”*주경 : 반사망원경에서 빛을 먼저 모으고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가장 큰 반사경. 주경의 지름이 클수록 빛을 더 많이 모으고,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햇빛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학자들은 이것을 ‘황금각’이라 부른다.독일 뮌헨기술대학교의 헬무트 포겔은 왜 식물이 피보나치수열과 황금각을 따르는지 연구했다. 그는 해바라기에서 n번째 씨앗은 첫 번째 씨앗에서 약 137.5°의 n배가 되는 각을 이루고, 중심까지 거리는 n의 제곱근에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이다. 양자컴퓨터나 양자정보통신 기술 말이다. 이른바 양자공학의 세계가 열린다. 두 연구원은 “이런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자 하나를 읽어내는 능력이 필수”라며 “2018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단일 전자 펌프를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처음 통계물리학 연구를 시작한 학자는 조순탁 교수다. 과천에 있는 국립과학관에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명이다. 조 교수의 지도교수는 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게오르그 울렌벡이고, 울렌백의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무척 반가운 일이지만, 기술 발전 그 이상으로 중요한 점을 생각해야 할 때이다. 해당 기술을 사용하려는 사람의 책임감, 도리, 도덕심 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부담을 피할 수 없다. 빛 기술이 병을 빠져나온 사악한 요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게 빛 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맡겨진 임무가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취급하고 있다. 이 기사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이오 화장품은 ‘천연 추출물 또는 바이오 기술에 기반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을 말한다(2015년 5월 27일 LG경제연구원 Weekly 포커스에서 발췌). 여기에 해당하는 화장품은 수도 없이 많다. 그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건 줄기 세포 화장품이다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아라고 (Aragoscope)’가 그 주인공이지요. 아라고는 지난해 6월 NASA가 상상 속의 기술을 현실에 구현하기 위해 연 아이디어 대회 ‘NIAC’에서 선발된 신개념 우주망원경이에요.아라고에서는 지름 800m짜리 원반이 반사경 역할을 해요. 약 250m인 63빌딩 세 채가 줄지어 들어가도 자리가 남을 정도로 ... ...
이전3973983994004014024034044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