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행성상성운은 커다란 망원경 앞에서는 다양한 모양을 보여준다. 거문고
자리
의 M57, 여우
자리
의 M27이 대표적이다. M57은 전형적인 행성상성운으로 고리(반지) 모양을 하고 있어 고리성운으로 불리고 M27은 아령성운이라 불린다. 아령성운은 먹다버린 사과처럼 보이기도 한다.다른 행성상성운은 다양한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세포막의 기능은 생명 현상의 기본인 항상성 유지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그런데 세포막의 구조를 살펴보면 탄소와 아울러 수소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과학동아 1999년 1월호 특집 자연의 지배자 수소 참조). 여기서 다시 한번 생명에서의 수소의 역할을 짚어볼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전도성을 띤 고분자를 만드는 실험을 하던 어느 날이었다. 반응기를 가동하던 중 잠깐
자리
를 비웠는데 돌아와보니 반응용액의 표면에 찬란한 은빛의 막이 생겼다. 이것이 계기가 돼 1977년 도핑된 전도체 폴리아세틸렌(올해 화학상 해설기사 참조)의 발견으로 이어졌다.당시 그 사실을 보고 받은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주장했다.허셜의 은하계 모양에 대한 생각은 현재 우리가 아는 것과 비슷하지만 태양이
자리
잡고 있는 위치가 틀렸다. 실제로 은하에는 성간물질이 많아 별빛을 막고 있다. 가시광선 영역밖에 관측할 수 없었던 허셜은 태양에서 6천광년 이내의 별밖에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실제로 지름이 약 1 ... ...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어울려야 한다. 아름다움이 첫번째 관문이다. 이 세상에 추한 모습의 수학이 영원히
자리
잡을 곳이란 존재하지 않는다.”하디가 수학의 또다른 핵심적 특징으로 파악한 것은 ‘진지함’이었다. 체스는 그것의 형식과 기법에 있어서 매우 수학적이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부족한 점이 있는데 그것은 ... ...
구조동역학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국제공항
자리
에 1백m높이로 우뚝 솟은 관제탑.총22층의 8각형 구조물로,관제실면적이 1백80㎡(약54평)에 이른다.높이 64m,관제실면적 24평인 김포공항의 관제탐에 비해 훨씬 큰 규모다.그런데 문제가 있다.관제탐에서 근무하다보면 거센 바람이 불 때 흔들거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관제탑이 바람에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1백만그루가 훨씬 넘는 나무가 심어진다. 이 ‘밀레니엄 파크’는 쓰레기 매립터
자리
에서 파낸 흙을 쌓아올려 산을 만든 뒤 조성한 곳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쓰레기 더미 위에 핀 꽃’이라고 할 만하다. 경기장시설 건축을 위해 잘라낸 나무들은 하나도 버리지 않고 ‘밀레니엄 파크’에 옮겨다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황소
자리
의 별무리는 플레이아데스성단으로 맨눈으로도 예닐곱의 별이 보인다. 오리온
자리
의 성운은 오리온대성운이다.)달처럼 차고 기우는 금성 최초 관측갈릴레이가 만든 다섯번째 망원경은 30배로 성능이 좋아졌다. 그는 이 망원경으로 또하나의 중요한 발견을 했다. 목성과 그 주위를 돌고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채운 청중들은 호킹 교수가 강연장 안으로 들어서자 모두 기립박수로 그를 환영했다.
자리
를 얻지 못한 사람들도 좌석사이 통로에 앉아 그의 강연에 귀를 기울였다. 특히 이날 강연에는 대학생은 물론 중고등학생, 초등학생들이 대거 참석해 호킹 박사의 대중적 인기를 실감케 했다. 강원도에 있는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거슬러 올라간다.뉴턴의 입자론은 1백년 이상 지속됐지만 19세기 초에 영의 파동론에
자리
를 내주었다.19세기를 통해 회절,간섭,편광이 파동성의 강력한 근거로 확립됐고,전자기학의 발전으로 빛 역시 전자기파의 일종임이 분명해졌다.그러나 이 승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19세기 말부터 빛의 파동론을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