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장소이동, 활동억제, 물리적 피서법, 생리적 피서법을 터득한 동물들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더위를 이긴다.북극권의 북극여우(Alopex lagopus)는 내한성이 강해서 -50℃ 쯤은 가볍게 견디고 실험적으로는 -80℃에도 별 이상이 없었다고 한다. 남극의 팽권도 내한성이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구나 이 새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반도체 로봇 자동차 신소재 등에서는 이미 미국을 능가했다고 자신만만해 하며, 기초과
학과
컴퓨터 쪽에서도 손에 잡힐 만큼 따라 갔다고 나름대로 분석한다. 그런 일본이 유독 한 분야에서만은 미국과의 격차를 좁힐 수 없다고 탄식한다. 소프트웨어가 그것이다.일본전기(NEC) 후지쓰 히타치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780 수준으로 해결한다면 80여일이 걸리지만 크레이Ⅰ은 단 5시간만에 해답을 내준다. 지진
학과
같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한 분야에서 슈퍼컴퓨터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었다.또 석유탐사와 같이 엄청난 돈이 투여되고 시추구멍하나 뚫는것이 도박에 비견될만한 일에서 크레이Ⅰ은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반대했지만 몇몇 사람의 공명심 덕택에 제주도에도 까치가 둥지를 틀었다. 경희대 환경
학과
팀의 조사에 따르면 세둥지에서 새끼번식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한 연구보고서를 작성 중인 구태회교수는 "울릉도에는 까치가 둥지를 틀 수 있는 수목(활엽수)은 존재하나, 대형조류와의 관계가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발견했다.바이칼 호수에서의 보다 중요한 발견은 1990년도 중반에 헌터대학 지질·지리
학과
의 캐더린 크레인씨의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졌다.최근 바다속엔 뜨거운 지점인 ‘핫 스폿’ 혹은 ‘열수출구(熱水出口)’라는 지점들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한 지점에서 깊은 곳으로부터 위로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자신의 학생들을 가르칠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수 있을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학과
전산학을 함께 공부한 전문가집단이 많이 나와야 합니다. 또 시중에 나와 있는 소프트웨어의 질을 평가하는 기관이 생겨 소비자들이 이를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이-시중에 소프트웨어들이 다수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한반도에선 폭발할 기미가 없다지만일본 운젠화산,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 지난 6월 태평양 지역을 연이어 강타한 화산폭발은 인류에게 '살아 꿈틀거리는 지구'의 생명력을 무섭게 확인시켰다. 잠들어있던 화산은 언제 깨어나는가? 한반도는 화산의 분노로부터 안전할까?동물 정도의 지능에서 벗어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바탕으로 장기 생태연구 프로젝트가 1970년대부터 수행돼 오고 있다. 연구진은 조지아대
학과
플로리다대학의 연구인력으로 구성돼 있고, 환경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자 지리학자 지질학자 환경공학자 자원경제학자 등이 학제적인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후 근 40년 동안 이같은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생물학의 여러 분야 특히 집단유전
학과
생태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 활기를 띠기 시작한 분자생물학의 연구결과도 큰 공헌을 했다. 특히 전기영동법이 개발되면서 유전자 변이에 대한 집단유전학적 연구가 급진전,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확률적으로 볼 때 단백질 하나도 우연히 생기기 어려운데…" - 창조론의 입장사람은 어디에서 왔고 동식물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지구 해 별 등 우주의 궁극적 기원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을 통해 한번쯤은 직면하게 되는 문제다.생명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무생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