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함께 월출을 동생에게 부쳤습니다. 즉 그림을 그린 시기는 5개월 내로 좁혀진 셈이죠.
결정
적인 증거는 그림 속에 있었습니다. 그림에서는 달인지 해인지 모를 둥근 천체가 가파른 절벽에 걸려 있습니다.올슨 교수는 지난해 6월 생레미 수도원을 찾았습니다. 그곳에서 그림에 나오는 절벽을 찾은 다음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지만, 그들이 떨어뜨리는 한올의 머리카락이나 발자국 하나, 지문 하나는 형사들에게
결정
적인 단서가 된다. 한올의 모발도 남기지 않겠다고 자신하지 말라. 접촉한 모든 물체는 서로 흔적을 남기게 마련이니까.변장술의 귀재 프랑스판 신창원뤼팽에 대해 두가지 사항만 짚고 넘어가자. 하나는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우리가 석유자원 개발과 과학적 조사활동을 할 수 있는 한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결정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곳에 한국이 과학기지를 건설한 이상 주변국이 이곳을 자기 네 바다라고 넘보지는 못할 것이다.과학기지에는 무엇이 있나기지가 완성되기까지는 8년의 긴 세월이 걸렸다. 계획과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학설을 제시함으로써 이뤄진 학문 분야 간의 대화, 뉴턴의
결정
론적인 기계론에 대한 도전, 이로 인해 야기되는 필연과 우연의 대립을 통한 ‘두 문화’ 권의 새로운 대화, 과학이론에 포함된 가역적 시간의 개념과 일상생활을 통해 느끼는 시간의 차이에 대한 대담한 통찰. ... ...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계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주변에서 1백여개의 지층샘플을 채취했다. 그리고 그 안에 포함된 동물의 화석과 광물
결정
에서 아르곤40과 아르곤39를 추출했다. 그 결과 이들의 연대가 16만-15만4천년 전으로 밝혀졌다.한편 공동연구팀은 두개골이 발견된 주변 지층 속 화석과 석기유물을 통해 당시 현생인류의 생활상에 대한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백55개의 후보지를 놓고 2년 동안 격론을 벌였다. 마침내 NASA는 최종 착륙지점 두곳을
결정
해 지난 4월 11일 발표했다. 먼저 화성으로 향한 스피릿이 착륙할 장소는 화성 적도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는 구세프 크레이터(Gusev Crater)다. 이 거대한 크레이터(운석충돌구)는 한때 강물이 몰려들어 호수처럼 ... ...
2 언제 어디서나 건강검진하는 바이오센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융합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특히 향후 수년이 BT와 IT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
지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BIT의 원천기술 개발 등 기술역량을 조기에 확보해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기술이 나노 광
결정
소자다. 소자 구조를 나노 수준에서
결정
체처럼 주기적으로 배열하면 광신호의 이동경로를 바꿀 수 있다.한편 양자 광통신은 기존의 광통신보다 수천만배 빠른 정보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광통신은 하나의 정보단위를 빛의 기본 단위인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우수한 외나로도가 선정됐다.우주센터의 선정과 관련된 에피소드 하나. 사실 최종
결정
요인이었던 접근로는 처음 후보지 선정과정에서 외나로도에 불리한 요인이었다. 지도로 검토했을 때는 고흥과 내나로도, 내나로도와 외나로도를 잇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보지 선정과정을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결정
했다. 러·일전쟁의 기록과 주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좁은 범위의 탐사구역이 1차로
결정
됐다. 다음에는 해류의 영향 등을 고려해 좀더 넓은 범위의 2차 탐사구역을 확정했다. 이는 타이타닉호가 침몰됐던 곳으로부터 약 3km 벗어난 지점에서 발견됐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현장을 직접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