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구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가 금성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형태와 원인은 다르지만 둘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행성의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금성의 기후변화는 지구의 기후변화를 한 층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만들 뿐 아니라, 기후변화를 우주적 스케일로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긱블은 2017년부터 쓸모없고 이상하지만, 그럴싸하고 재밌는 기계들을 수없이 만들었습니다. 과학동아와 긱블이 함께 하는 첫 번째 기사에서는 그중 자타공인 ‘레전드’ 작품으로 꼽는 ‘치킨 발사기’의 뒷얘기를 낱낱이 파헤쳐볼까 합니다. ‘왜 때문에’ 치킨 발사기를 만든 건지 궁금하면 따 ... ...
- [수학뉴스] 아사프 나오르, 2019 오스트로브스키상 영예 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스위스 오스트로브스키 재단은 아사프 나오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를 2019년 오스트로브스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019년 11월 6일 밝혔습니다. 오스트로브스키상은 스위스 수학자 알렉산더 오스트로브스키의 이름을 딴 상으로, 순수수학 분야나 수학의 기초 분야에서 빼어난 업적을 ... ...
- [교육뉴스] 어릴 때 코딩을 배워야 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코딩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부 학부모들은 코딩 교육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는데요, 코딩 교육은 왜 해야 하는 걸까요?이 물음에 답한 IT 전문가가 있습니다. 아프리카 케냐의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비탄게 은데모 나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기후변화로 인해 위기에 빠진 동물들의 상황을 보고 무서워졌니? 나도 내가 보고 들었던 것들을 떠올려보니 정말 기후변화로 인한 결과는 심상치 않은 것 같아. 동물들을 구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기 전,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다행히도 이미 전세계는 기후변화를 늦추기 위해 노력 중이래. 어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 프로젝트 No.1 ] 1월의 아이돌 : EXO안녕하십니까. 저는 1n년차 아이돌 덕후, 피터팍입니다. 2019년 한 해 동안 못하는 요리에 도전하다가 모든 음식을 대차게 실패하고 2020년에는 잘하는 것으로 돌아가자는 마음으로 아이돌 연재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피터팍이라는 예명은 요리 실력이 영원히 네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에는 피검사만으로도 다양한 질병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런 검사를 ‘체외진단검사’라고 합니다. 체외진단검사에 쓰이는 시약을 만드는 회사에서 활약하는 수학자가 있어 만나봤습니다. 진단 시약이 뭔가요?제가 일하는 씨젠은 분자 진단 시약을 만드는 회사입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봇들이 벌레부터 사람과 비슷한 형태까지 각양각색의 모습을 하고 있네요. ‘로봇’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든 사람도 로봇이 이렇게 다양해질 줄은 상상도 못했을 겁니다. ‘로봇’은 원래 이런 뜻으로 지은 단어가 아니었거든요! ‘로봇’의 뜻을 로봇학자에게 묻지 마라?1920년 체코슬로바키 ... ...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백악기, 아시아 지역에 살던 탈라루루스(Talarurus) 공룡에 대해 들어봤나요?탈라루루스는 머리, 등, 꼬리가 작은 뼛조각으로 싸여있어 갑옷을 입은 듯 보이는 ‘갑옷공룡’ 중 하나예요. 1952년, 몽골 바얀시레층*에서 처음 발견된 초식공룡이지요. 처음 발굴한 탈라루루스 머리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