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d라이브러리
"
정확도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소행성의 영어이름 Asteroid에는 '별과같은'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 망원경으로 보아도 크게 보이지 않고 희미한 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근래 나온 몇 편의 SF영화에서 묘사된 소행성은 지구를 파괴하는 무서운 괴물로 그려진다. 물론 지름 수㎞의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웃옷으로 덮어 보고 바지를 약간 아래로 내려보기도 하지만 왠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 더 이상 감춰지지 않는 똥배가 원망스러울 뿐이다. 하지만 원망 이전에 우리가 해야할 것은 똥배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 이것이 똥배와의 전쟁을 위한 출발점이다.요즘 남모르는 고민덩어리를 안고 있는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비만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정상에 비해 2배 이상 뚱뚱한 쥐, 암 연구를 위해 개발된 면역성 없는 누드쥐, 간질병에 걸려 1시간에 1백번 이상 발작을 일으키는 쥐. 최근 미국의 한 실험동물연구소에서 ‘상품’으로 선보인 대표적인 쥐들이다. 연구소는 이들을 포함한 6백여 종류의 돌연변이 쥐를 개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올가, 폴, 레이첼. 만화영화 주인공의 이름인가? 아니다. 올 여름 우리나라를 찾아온 태풍의 귀여운 이름들이다.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태풍은 엄청난 폭풍우를 동반하고 찾아오는 강하고 무서운 불청객이다. 이들은 먼 적도지방의 바다에서 생겨나 긴 여행 속에서 성장해서 우리에게 도달한다.열대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8천m 이상의 고봉에서는 산소가 평지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한발짝을 옮겨놓기가 무섭게 숨이 차고 심장이 터질 듯하다. 그런데도 8천m급 고봉 14개를 모두 오르는 철인 등반가들이 있는가 하면 에베레스트 정상을 산소통 없이 오르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19세기까지 알프스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은 매년 9월 8일을 중력의 날로 정하고 새로운 중력가속도 측정 방법을 공모한다.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이하 '신과람')은 작년부터 9월 8일을 '중력의 날(g-day)'로 정해 축하하고 있다. 중력가속도값이 9.8m/초²인데서 착안한 것이다. 이 날의 행사중 하나가 중력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연기와 봉화가 유일한 원거리 통신 수단이던 시대를 지나, 1880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전화를 발명하면서 유선통신은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한층 줄였다. 그 후 1백년이 채 되기도 전에 세계는 지구촌이라는 이름으로 더 가까워졌다. 광통신이 전세계 곳곳을 빛으로 휘감았기 때문이다.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사람의 하루는 24시간이 아니라 24.5시간이다' '심장발작은 아침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하루안에 벌어지는 생체리듬의 다양한 모습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생체리듬을 잘 유지하는 것이 장수의 비결로도 여겨진다.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지구는 매일 자전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누구나 매일 5-6번은 소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을 찾는다. 무심코 지나치기 쉽지만 소변은 우리의 건강을 판별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다. 건강진단에서 소변검사가 빠지지 않는 이유다.아침에 눈을 뜨자, 가볍게 주먹을 쥔다. 손이 부어서인지 주먹이 제대로 쥐어지지 않는다. 요며칠 손이 붓고 소변에 ... ...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서울대 천문학과의 이명균-박창범 교수를 주축으로 한 초신성탐사팀은 지난 7월 6일 초신성으로 보이는 천체를 발견하고 국제천문연맹에 확인절차를 밟고 있다. 이 천체가 초신성으로 확인되면 1604년(선조37년) 관상감(觀象監) 학자들이 초신성을 발견한 이래 거의 4백년만의 쾌거라고 할 수 있다.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