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인공근육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1994년한양대 공업화학과
박사
1995년~2001년산재의료관리원 재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2002년~2005년한양대 의대 의공학교실 연구부교수2005년~현재한양대 전기제어생체공학부 부교수2006년~현재교육과학기술부 생체인공근육 창의연구단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수색하는 과학자들이 태양 같은 별에 관심이 큰 이유다.한국천문연구원 최민호
박사
팀이 발견한 쌍둥이 아기별 A1과 A2. A1은 주위 원반에 고체 성분(먼지)이 많은 반면, A2는 주위 원반에 기체 성분이 많아 두 별은 ‘이란성 쌍둥이’임이 드러났다.5월 세계 천문의 해 이벤트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실제로 1992년 미국 출신의 세계적 생태학자인 재닌 베니어스
박사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세계 동물원에서 사는 포유류 90%가 동물원에서 자체적으로 번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원이 야생에서 잡아 온 동물을 가두는 곳이 아닌 종 보존의 역할을 하는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정리’로 필요 없는 임시저장 파일을 지우는 일과 비슷하다.워싱턴대 의대 폴 쇼
박사
는 “잠을 깊이 자지 못하면 중요한 기억을 저장하고 불필요한 기억을 삭제하는 기능이 약해진다“며 “고민이 많더라도 일단 잠을 깊이 자야 다음날 뇌가 활발하게 활동한다”고 조언했다 ... ...
[에너지]상온핵융합, 부활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상온핵융합이 실제로 일어났음을 강력히 시사하는 최초의 증거가 나왔다.미국 해군의 파멜라 모지어-보스
박사
팀은 상온핵융합이 일어날 때 ... 제시한다”고 말했다.상온핵융합 2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이번 모임에서는 모지어-보스
박사
팀의 결과 외에도 30여 편의 관련 논문이 발표됐다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만들어진 것이 1종류, 각섬석에서 비롯된 것이 5종류가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상모
박사
는 “사문석이나 각섬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결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불완전한 침상(針狀)으로 자라면 석면이 된다”고 설명했다.석면(asbestos)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불에 타지 않는다는 뜻이다.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김필립 교수팀에서
박사
후연구원을 지냈다. 2007년 귀국해 성균관대 화학과 및 나노과학기술원 교수를 맡고 있으며 현재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카드를 잘 섞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구해 생물을 분류할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 ...
효시(嚆矢)와 제논의 역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그뒤 미국 와이오밍주립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아이오와대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서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웃기는 수학이지 뭐야’ ‘신화 속 수학이야기’ ‘수학 블로그’ 같은 책을 펴냈다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된 것은 응용 과학에 대한 강한 애정 때문이었다. 실제로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벨 연구소, 삼성전자처럼 비교적 보통 사람의 삶에 바짝 다가선 연구를 하는 조직에 몸을 담았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소자개발에 매진하는 현재의 연구도 비슷한 흐름에 있긴 마찬가지다.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