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든다.수많은 사람이 이곳을 찾는 건 계곡 내부가 무척 아름다워 어디를 찍어도 작품 사진이 될 만큼 절경이기 때문이다. 흐르는 물이 붉은 사암을 마치 사람이 만든 조각품인 양 매끄러운 곡선으로 다듬었고, 퇴적암 특유의 층리는 마치 바위가 물결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게다가 계곡 상부의 열린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올 여름, 세상에 없던 특별한 고릴라가 왔다. 야구 방망이를 이쑤시개처럼 들고, 쳤다 하면 홈런을 날리는 야구하는 고릴라 ‘링링’이다. 아시아 최초 3D 디지털 캐릭터로 만들어진 탄생의 비밀과, 야구 속 수학 이야기도 만나 보자.야구 하는 고릴라, 한국 야구단에 입단하다!안녕? 난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데카르트의 여름방학 특강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프랑스에서 17세기에 활동했던 르네 데카르트라고 합니다. 수학자이자 과학자죠. 이번 특강의 주제는 ‘무지개’입니다. 여름철은 특히 무지개를 보기 좋은 때니까요. 그런데 이런 무지개는 대체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언 ... ...
- [체험] 수학으로 툭 튀어나온다! 팝업 카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아빠, 어쩌죠? 할머니께 쓴 카드를 집에 두고 왔어요. 왜 하필 할머니 댁에 거의 다 오니까 생각나냐구요.”“에구~, 미리 좀 챙기지 그랬니? 그나저나 여기 연꽃이 아주 예쁘게 피었구나. 연꽃?! 그렇지! 하나야, 카드를 직접 만들어 드리는 건 어떨까? 카드를 펼치면 연꽃이나 하트가 튀어나오는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들어지는데다가 제2무지개보다 더 흐리고 크기 때문이다. 제3무지개를 촬영한 사진이나 실제로 보았다는 사람을 찾기 어려운 이유다.만약 다른 용액을 쓰면 어떨까. 소금과 물을 1:1로 섞은 소금물을 함께 뿌려봤다. 드디어 세쌍무지개가 떴다! 바로 물의 굴절률(1.33)과 소금의 굴절률(1.54)이 다르기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시간이 지나면 최단 시간이 걸리는 경로로 움직이게 된다.아래는 논문에 실린 실험 사진.개미도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빠른 속도로 걸을 수 없는 울퉁불퉁한 지표면에서는 움직임을 줄이고 매끄러운 지표면에서 더 많이 움직인다.#3 편한 길은 많이, 힘든 길은 적게마지막으로 좀 더 고난도의 수학 ... ...
- 홈스테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나. 그보다 왜 한밤중에 기차를 움직이는 거야, 수상하게?’그리고 그때였다. 군데군데 사진으로 보기는 했어도 정확한 모양을 알 수 없는 철길마을 어디선가, 무언가 의미를 가진 것이 내귀로 파고들었다. 아무것도 없는 검은 천 위에 바늘 끝처럼 뾰족하게 머리를 들이민 날카로운 의미. 아직 ... ...
- 향 분자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다른 하나 속에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상태.- 전자현미경으로 마요네즈를 관찰한 사진. 식초안에 기름이 수많은 방울로 분산돼 있다. 기름방울들 표면에 작은 덩어리는 레시틴이다.레시틴은 식초와 기름이 잘 섞이도록 돕는다.물 안에 기름 vs기름 안에 물물과 기름이 섞여 있는 비네그레트와 ...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비행하는 회전익 모형항공기를 제작해 공연을 하거나 소형카메라를 달아 항공 사진을 찍는다. 2011년과 2012년에는 프로농구 SK 나이츠 홈경기 때마다 경기에 앞서 비행 공연을 하기도 했다.이들이 처음부터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정도로 모형항공기를 잘 날렸던 것은 아니다. “선배들이 조종하기 더 ...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고래 조사를 수시로 한다. 돌고래 떼도 수시로 만난다. 그때마다 망원렌즈로 사진을 찍고 지느러미 모양을 확인한다.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각기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만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