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d라이브러리
"
일부인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아프리카에서 금세기 최악의 괴질이 발생했다. 감염된지 48시간 내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 독종 바이러스가 출현한 탓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신종 뇌염으로 수십명이 사망하고 있다. 한국 역시 바이러스의 공포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다.사건 15월 6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아프리카 지역 콩고민주공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세계인의 식탁에 긴급 적신호가 울렸다. 6월 초 벨기에 정부는 자국산 돼지고기와 닭고기에 '인간이 만들어낸 최악의 독성물질'로 알려진 다이옥신이 다량 포함됐다고 밝혔다. 곧이어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육류 역시 안심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한국을 비롯해 이들로부터 고기를 수입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일정한 크기의 종이를 반으로 계속 자르다 보면 A1, A2, A3, A4 용지를 만날 수 있다. 이들은 어떤 규칙으로 만들어졌을까.복사용지를 포함해 공문서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종이가 바로 A4 용지다. A4 용지의 규격은 297mm×210mm이다. 단순하게 300mm×200mm로 정하면 훨씬 편했을 텐데 왜 이렇게 복잡한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와 인간은 숙명적인 악연 관계를 맺고 있다. 바이러스는 인간을 끊임없이 괴롭히지만 인류 전체를 완전히 사멸시키지 않는다. 인간의 사멸은 곧 자신의 죽음이기 때문이다. 21세기에 치러야 할 바이러스와의 전쟁 양상은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이제 우리는 몇개월만 지나면 20세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1957년 10월 4일 금요일 밤, 워싱턴 러시아(옛소련)대사관에서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모여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파티를 즐기고 있었다. 월요일부터 시작된 ‘국제지구물리의 해’(IGY)를 기념한 ‘로켓과 인공위성’에 관한 학술세미나가 끝나는 것이 못내 아쉬운 듯 과학자들은 자리를 뜰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1백여기의 석불과 30여기의 석탑이 천년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 민중의 한과 저항을 고스란히 담아냈다는 이 사찰에 하늘의 질서를 구현한 칠성바위와 와불이 있다. 최근 탑 배치가 일등성의 배치와 일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천녀의 신비가 풀리는 듯했다. 그러나 그 주장의 이면에는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만약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생물이 숨을 쉴 수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매일 우주에서 떨어지는 운석과 우주선(cosmic ray)을 견딜 수 없을 것이다. 게다가 밤낮으로 엄청난 폭으로 변하는 기온변화 때문에 큰 고충을 겪을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지구에서 생물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는 변신의 명수다. 치료제를 개발했다 싶으면 재빠르게 새로운 형태로 스스로를 변환시킨다. 에이즈를 퇴치하지 못하는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단계 바이러스 치료책은 어디까지 개발됐을까. 최근 ‘바이러스’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CIH(일명 체르노빌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와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먹을 경우 탈이 나는 것은 미생물이 생성하는 외독소(exotoxin)와 미생물 균체 외막의
일부인
내독소(endotoxin) 때문이다. 외독소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열처리하면 그 독성이 없어질 수 있지만, 내독소는 열에 의해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오염 지표 미생물 대장균가끔 TV 뉴스나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생활이 현대화됨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은 급격히 증가했다. 기본적으로 하루에 마셔야하는 2L의 양을 포함해 음식을 만들거나 몸을 씻는데 상당한 양의 물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때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깨끗해야 하는데···물은 인간이 농사를 짓고 한 곳에 머물러 살면서 더욱 중요해졌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