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내 안에 숨어 있던 ‘초인적인 울트라파워’가 샘솟기라도 하나 보다. 이 힘을 잘만 사용하면 효과적인 벼락치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먼저 짚고 갈 문제, 벼락치기도 하던 사람이 꼭 한다. 그날그날 해야 하는 일을 해둔다면 굳이 막판에 쳐서 벼락치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SW 중에 한국에서 개발한 것이 거의 없는데, 이 SW가 널리 사용되는 주인공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 교수와 김 교수는 DNA를 넘어 RNA와 단백질 등을 포함하는 생명 현상의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 관련 프로그램도 완성해 생물학 분야의 주요 데이터 분석 기술을 ... ...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부품을 빼고는 엔진까지 모두 레고로 만들어졌어요. 무려 50만 개 정도의 레고 블록이 사용됐지요. 가장 큰 특징은 엔진까지 레고로 만들어졌다는 거예요. 자동차 엔진은 길다란 축에 실린더와 피스톤이 연결된 모양이에요. 실린더 안에 들어 있는 연료가 폭발하는 힘으로 엔진이 돌아가지요. 레고 ... ...
- [과학뉴스] 탄소를 사이좋게 나눠 쓰는 나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른 탄소원자도 있지요. 무게가 다른 탄소를 ‘13C’라고 부르며, 이 탄소를 꼬리표처럼 사용하면 주변 탄소의 움직임을 알아낼 수 있답니다. 연구팀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40m짜리 ‘독일가문비나무’와 주변 나무들의 13C 분포를 5년간 조사했어요. 그리고 놀랍게도 독일가문비나무에 있던 13C이 다른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센서가 들어 있지 않다.[종이 틀 안에 볼록렌즈를 넣고, 스마트폰만 끼워 가볍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 제품도 인기를끌고 있다. 사진은 버넥트의 ‘오리얼글래스’.]‘VR(Virtual reality)’은 ‘가상현실’이라는 의미예요. 현실처럼 실감나게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나 대상, 그리고 그 공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달리 빵가루는 거친 게 특징이에요. 따라서 아란치니를 튀길 때 튀김가루 대신 빵가루를 사용해야 아란치니와 고로케, 돈가스처럼 까끌까끌하면서도 바삭한 특유의 식감을 살릴 수 있답니다.”레몬으로 담백함을 더해요!기자단은 기름에 튀긴 주먹밥을 식히는 동안 양념을 만들었어요. 마늘을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생전에 못이나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나무다리를 제안했어요. 이를 ‘레오나르도 다리’, 또는 ‘레오나르도 돔’이라고 불러요.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설계로만 남아 있던 레오나르도 돔을 직접 만들어 보는 워크숍이 진행됐어요.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의견을 보였다. “생존율과 발암성을 보기 위해서는 암수 각 군당 50마리 이상의 동물을 사용해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다고 인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동물만을 이용했다. 또 독성시험에 대해서는 최종 보고서 형태로 모든 결과를 기재해 종합적인 평가를 받아야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더군다나 이산화탄소가 탄소화합물로 전환될 때 에너지가 많이 들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매우 뛰어난 촉매가 필요하다.촉매의 성능에는 전환 효율만 있는 것 아니다. 지난해 당시 세계 최고 효율(4.23%)의 인공광합성 장치를 개발한 황 선임연구원도 “촉매 연구에서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최근에는 다른 분야에서도 방향성과 크기를 가진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복소평면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신경과학이다. 뉴런간의 신호를 연구하는 신경과학자들은, 복소수를 이용해 신호가 오는 방향과 크기를 수학적으로 나타낸다.복소수와 복소평면 자체를 연구하는 수학자도 많다.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