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없는 학생들은 교수를 불편해하지 않는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대학들이 온라인 강의를 진행해 학생과 교수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졌다. 사제 간에 친밀감이 없다는 점에서 삭막해 보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수평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데 일조한다. 예를 ... ...
- 내 이름은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오가노이드계의 맏이, 장 오가노이드야. 줄기세포로 태어나서 장을 닮은 모습으로 자라는 중인데, 앞으로 내가 얼마나 더 멋지게 자랄지 너무 기대 돼! ... 러쉬코리아 캠페인팀 이사), Christopher Caligiuri(브레인봇 개발자, 미국 캐니언 크레스트 아카데미 11학년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딛는 것 외에도 수많은 요소가 필요했던 거예요! Q2단계 로봇도 준비하고 있다고요?네. 1단계는 뇌 오가노이드가 만드는 신호를 로봇에 전달하는 것이었다면, 2단계는 로봇이 받는 자극을 뇌 오가노이드에 전달하는 거예요. 쉽게 말해 로봇이 뇌 오가노이드의 눈이자 귀가 되도록 만드는 셈이지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1월 말 우한에서 입국한 중국인 환자를 시작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번지며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특히 2월 중순을 기점으로 국내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감염병 환자를 수용할 ... ...
- [기획] 퍼즐 대결 공정성 수학이 보장한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일일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퍼즐 대결 공정성 수학이 보장한다!Part1.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Part2.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Part3.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 ★ 도움김종락(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 서인석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하겠습니다. 이 경우 카드를 한 번 섞었을 때 가장 아래와 그 위에 놓이는 카드는 반드시 1 또는 3이 됩니다. 또 세 번째와 네 번째로 놓이는 카드는 2 또는 4가 되죠. 그리고 5는 항상 가장 위에 놓입니다. 즉 한 번 섞었을 때 나올 수 있는 카드의 배열은 아래와 같고, 특정 카드가 나올 ‘확률 분포’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서로 같습니다. 여기서 부분군이란 부분집합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집합 A={1, 2, 3, 4, 5}라고 하면 집합 B={1}이나 C={1, 2}처럼 집합 A의 일부분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집합 A의 ‘부분집합’이라고 합니다. 부분군 역시 어떤 군의 일부를 이루는 군이라고 보면 쉽습니다. 3차원 결정의 대칭 구조를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NCT 유닛으로 가능한 그룹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구할 수 있다. 2명~18명까지 뽑는 가짓수를 모두 더하면 18C2+18C3+18C4+…+18C16+18C17+18C18이고, 계산하면 262125가 나온다. 즉 NCT에서 현재 만들 수 있는 NCT U의 멤버 조합은 무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아군끼리 소식을 주고받는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 현대 암호 기술 발전을 위해 1977년 세 명의 컴퓨터 과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델만은 RSA 암호를 개발한다. RSA 암호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드는 ‘암호화’와 암호문을 해독하는 ‘복호화’에 각각 다른 키를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입니다. 소금이 포함된 음식까지 고려하면 체내에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더 늘어나겠죠. 김 교수팀은 한강, 낙동강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