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외국인이 한국말을 잘해도 비정상이라고요? 아닌데에~? 처음에는 외국인이 한국말도 잘 한다고 칭찬해 주시더니, 요즘은 외국인이 한국말을 너무 잘하는 거 아니냐며 이상하게 보기도 해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해서 안건으로 상정합니다. 한국인만큼이나 한국말이 유창한 저희 G11, 비정상인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해보면 등교 시간이 조금 빠르긴 하다. 대학교에서도 어지간한 수업은 9시, 혹은 9시 30분에 시작하고, 회사는 ‘9 to 6’,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한다. 오직 학교만 9시 이전에 가야하는 셈이다. 8시 반까지 등교하던 수많은 학생들이 아침에 최소 30분 여유가 생겼다. 이 여유가 얼마나 큰지 경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녀의 싸늘하게 높은 코, 단정하지 못한 입 언저리, 촉촉하게 젖은 눈, 그런 것 전부에서, 일순간, 나는 달빛 아래의 우이코 모습을 보았다.” _미시마 유키오, ‘금각사’ 중아름다움에 경도된 한 청년의 정신적 방황을 그린 일 본 소설 ‘금각사’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 남자는 친구가 유혹하려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저 모래 언덕 너머에 무엇이 있을까?”왕자웨이 감독의 걸작 영화 ‘동사서독’에서, 사막의 여관을 운영하는 주인공 검객 구양봉(장국영 분)은 멀리 지평선에 걸친 모래언덕 너머의 세계를 늘 궁금해한다. 그곳에도 과연 사막이 이어지고 있을까. 혹시 세계가 끝나지는 않을까. 가보지 않은 채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5700년 전 신석기 한반도 최초의 재배 벼, 가와지 볍씨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쌀은 충청북도 청원에서 발견된 ‘소로리 볍씨’다. 약 1만5000년 전의 볍씨로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볍씨보다도 나이가 많다. 그러나 소로리 볍씨는 야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형태인 순화종으로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마 전 충격적인 발견을 했습니다. 어찌나 놀라운지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믿기지가 않습니다. 사정은 이렇습니다. 저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을 하나씩 보던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탐사선이 파낸 흙 아래로 슬쩍 보이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957년 4월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휴 에버렛 3세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됐다. 에버렛은 이 논문에서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시했다. 논문이 통과되기 1년 전, 지도교수였던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중서부의 건조한 사막, 그레이트 베이신. 해마다 이곳에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과학자들이 모여 정성껏 밭을 일군다. 20여 년 전부터 사람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 야생담배의 생존비결을 밝히기 위해서다. 혹한 환경을 견디며 연구에 전념하는 과학자들의 여정을 현장 연구자가 직접 소개한다. ... ...
- 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거울을 볼 때마다 외친다. ‘나는 왜 김태희처럼 생기지 않았을까!’ ‘나는 왜 조인성과 같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생각이 들지 않지?’ 혹시라도 이런 질문을 던져본 사람이라도 너무 실망하지는 말자. 모든 인류의 얼굴은 오랜 진화 역사를 거쳐 탄생한, 섬세하고 다양한 개성을 담고 있으니까.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은 중요하다.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우리는 먼저 얼굴을 익힌다. 오랜만에 만난 사람은 안색을 살핀다. 요즘 사람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뼈만 남아 있는 인류의 조상을 이야기할 때도, 우리는 얼굴이 어떻 게 생겼는지 궁금해한다. 인간의 얼굴은 언제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먼저 인간 ... ...
이전4044054064074084094104114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