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팔이 하나 더 있다면? 세번째 팔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마시고, 피아노를 치면서 코를 팔 수도 있겠죠. 일본의 국제전기통신기초기술연구소에서 사람의 몸 왼편에 달아서 쓸 수 있는 세 번째 팔을 개발했어요.이 로봇팔은 뇌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인식해 움직여요. 신호를 측정하고 전달하기 위해 실험 참가자들은 머리에 전극이 달린 모자를 썼어요. ... ...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물이 없으면 3일, 식량이 없다면 3주밖에 살지 못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답니다. 사람은 체온이 30℃ 아래로 떨어지면 심장 박동이 불안정해지며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요. 다행히 동굴 내부 온도는 24℃ 정도로, 동굴 내부의 습기로 인한 가벼운 저체온증만 걱정되는 수준이었죠. 또한 소년들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17세기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를 겪은 사람도 세모와 네모의 차이를 알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눈이 안 보이면 몸의 운동으로, 몸의 운동 능력이 없으면 눈으로 거리와 공간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라이프니츠는 도형이나 공간의 성질을 다루는 학문인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기록했을 정도예요. 그러나 앞으로 폭염이 계속 이어질 거란 예보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랙아웃을 걱정하고 있어요. 블랙아웃은 공급되는 전기보다 사용되는 전기의 양이 많아 발생하는 대규모 정전 사태를 말해요. 그렇다면 블랙아웃은 언제 어떻게 일어날까요?일단 전기는 발전소에서 ...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대한 연구도 필요하지요.소음도 문제예요. 특히 도심 속 공항이 만들어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항공기의 소음에 불편을 겪을 거예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새의 날개를 모방해 구부러진 형태의 날개를 만들었어요. 일반적으로 항공기 소음은 공기가 비행기 날개에 부딪힌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힘들어요. 예를 들어 흠집이 난 사과의 사진을 도감에 실으면, 사과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흠집이 사과의 특징이라고 착각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식물세밀화가는 같은 종의 식물 여러 포기를 보고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 그림을 그린답니다.” 화가인데 탐험도 한다고?화가는 작업실에서 홀로 ... ...
- [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수집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느 지역에 몰려 있는지 알아내요.이 자료를 통해 출국장에 사람이 몰릴 경우, 카운터를 더 운영할 수 있어요. 또 여행객들의 스마트폰으로 한산한 출국장과 최적의 경로를 공유할 수 있지요. 이러한 정보가 쌓여 빅데이터 분석을 하면 여행객이 몰리는 시기와 시간, 지역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날만 비행하는 사람들“오늘 아침, 허리케인 헌터들이 열대성 폭풍 ‘크리스’ 속으로 날아갔어요.”지난 7월 8일, 미국 해양대기청 소셜 미디어에 허리케인 헌터들의 소식이 들려왔어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근처에서 열대성 폭풍이 만들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허리케인 헌터들이 항공기를 타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답니다.” 장에서 뚜루뚜루를 움직여 봤어요. 불을 피해 손전등과 손수건을 획득하고, 사람을 구해 탈출하는 미션이었지요. 미션을 마친 후, 이서현 기자는 “미션을 수행하다 보니 자연스레 코딩에 익숙해졌다”며, “다음엔 멜로디와 빛 등 뚜루뚜루의 다른 기능을 사용해 재밌는 미션을 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렌틸콩이라는 작물에서 비롯되었어요. 17세기 사람들은 빛을 모을 용도로 만든 볼록한 유리의 모습과, 렌틸콩의 양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습이 닮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 유리 도구를 렌틸콩의 라틴어 이름인 ‘렌즈’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 ...
이전4044054064074084094104114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