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허블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에서 열린 허블펠로우 학회에 다녀왔다. 전
세
계 허블펠로우들이 모여 연구 내용을 교류하는 자리였다. 허블우주망원경 프로젝트를 기획한 원로 과학자 리카르도 지아코니도 참석했다. 허블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내기도 한 지아코니 교수는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소재와 재료도 GMO에서 얻는 시대가 머지않았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무엇보다
세
계 각국이 방향성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개발을 멈추고 가만히 있다면 우리는 식량 후진국의 위치를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구의 1.5배인 행성이라면 이상적인 속도가 시속 7km로 늘어난다.이런 결론은 그가
세
운 역진자 운동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진자운동은 운동에너지(1/2mv²)가 위치에너지(mgh)로, 그리고 위치에너지가 다시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나타난다. 그렇다면 중력이 달라지면 어떻게 될까. 질량 m은 양쪽 ... ...
바뀐 규정에 강한 라인트레이서 블루샤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누가 빨리 달리는가로 바뀌었다. 임무 수행 점수는 ‘특정 위치에서 발광다이오드(LED)를
세
번 깜빡여라’ 같은 임무를 누가 정확히 수행하는지 평가한다. 올해 새로 생긴 적재물 점수는 짐을 실은 뒤 떨어뜨리지 않고 달리는 실력을 평가한다. 짐을 많이 실을수록 가산점이 붙지만, 달리다가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98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월터 길버트 박사는 1986년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며 ‘RNA
세
계(world)’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즉 자신의 염기서열을 스스로 복제하는 RNA 분자가 최초의 생명체였다는 가설이다. 체크 교수팀이 발견한 리보자임처럼 특정한 화학결합을 끊거나 만들 뿐 아니라 촉매로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비교해보면 평균 몸길이는 현존하는 무척추동물 중에 가장 큰 대왕오징어(10m 안팎)가 우
세
하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우산의 지름 1m 정도에 몸길이 5m로, 최근 국내에서 발견된 산갈치(약 4m)와 비슷하다.대왕오징어는 둥글고 큰 입 안에 있는 이빨로 대구나 오징어를 찢어 먹는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소행성에 ‘조경철’이라는 이름을 붙이도록 했고, 2002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가 ‘20
세
기의 탁월한 과학자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고인은 늘 장난기 섞인 밝은 웃음소리와 함께 ‘아폴로 박사’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만드는 소재과학을 개척한 공로가 인정됐다.생명과학 분야 수상자인 오 교수는 상피
세
포에서 수분과 전해질 분비를 조절하는 염소이온 채널 유전자인 ‘아녹타민1’을 최초로 발견해 난치병인 낭포성섬유증 치료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교과부는 또 40
세
미만의 신진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새로운 경향의 전공을 신설하고, 그 쓰임새를 학생들에게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다.연
세
대 이공계 학과를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당부하고픈 이야기가 있다면? 올해 입시에서 특히 논술시험을 철저히 준비하라고 전하고 싶다. 수학에서는 각 개념마다 원리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하며, 과학에서는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레인보우는 주로
세
팀으로 나눈 ‘7=2+3+2’의 단순한 구조를 취했다. 하지만 동선은
세
팀이 만드는 것치고는 단순하지는 않다. 이 구조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3명으로 이뤄진 팀에 속해 있고 2명으로 이뤄진 팀은 3명 팀이 등장하기 위한 ‘문’의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런 동선은 눈을 확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