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O}_{2}$)를 환원시키면 전류가 발생한다. 수소와 산소가 갖고 있는 화학
에너지
를 전기
에너지
로 변환시킨다는 꿈의 발전장치인 연료전지의 원리다. 그런데 현재 연료전지는 제작비용이 만만치 않아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산소 환원반응을 위해 전극으로 사용되는 백금이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구분된다. 그런데 안정적인 한가지 형태로 존재하던 이성질체는 외부의 빛이나 다른
에너지
를 받으면 다른 형태로 변형된다. 예를 들어 빛을 받을 때는 시스형의 잉크구조로, 빛을 받지 않을 때는 트랜스형의 잉크구조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지폐 중앙의 특정 부분(1만원권 용, 5천원권 학,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DNA를 포함하고 있는 미소기관이 있다. 식물의 경우 푸른색을 갖게 하는 엽록체와
에너지
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가 그렇다.세포질이 갖고 있는 유전 정보는 꽃가루를 통해서 전달되지 않는다. 새로운 형질전환 방법은 바로 이 점을 이용한 것이다. 엽록체 속 DNA에 새로운 유전자를 이식시키는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대한 운동
에너지
와 체온유지를 위한 열
에너지
로 전환된다고 생각 했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
가 보존된다고 착안했던 것이다.20세기에 들어서는 물리학이 생물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사건이 있었다. 1953년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 나선을 발견하는데 물리학이 이룩한 X선 회절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 ...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여태껏 감마선폭발이 전하늘에 걸쳐서 수없이 관측됐지만 우주 먼 곳에서 거대한
에너지
를 낸다는 점 외에는 밝혀진 사실이 별로 없었다. 특히 그 정체는 몇가지 이론적인 추정만 됐을 뿐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실린 두 편의 논문에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작물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선택으로 인식되고 있다. 즉 식량과 대체
에너지
원의 공급을 증대시키고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 농법을 보편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선진국들은 식물연구에 대규모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특히 식물 생명공학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월류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낙차에 의한
에너지
보다는 빠른 유속에 의한 충격이 좀더 중요해진다. 월류가 거의 끝날 무렵이면 평화의댐을 중심으로 댐 바깥쪽 수위와 안쪽 수위가 비슷해진다. 이때 물의 흐름은 댐의 최정상 부위에서 가장 빨라진다. 물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국내의 한정된 자원으로는 모든 분야를 개발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면서 “전력
에너지
분야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이며, 향후 기술개발 노력 여하에 따라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남보다 뒤져있는 기술은 응용 단계에서 그 원천 기술을 가져와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천천히 움직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도 많은 시간을 천천히 움직이거나 쉬면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먹이감이 나타나기만을 기다렸을 것이다.한편 이들 타조 공룡은 자신들의 천적인 알버토사우루스와 같은 거대한 몸집의 육식공룡들의 공격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 ...
나노기술 결합된 최첨단 전투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과 방탄막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인간의 근육처럼
에너지
를 내장했다가 분출함으로써 훨씬 높이, 그리고 멀리 뛸 수 있는 군화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이다.이처럼 주위 환경에 따라 스스로 대응하는 미래형 군복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나노기술 덕분이다. 예를 들어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